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뉴스
"
전류
"(으)로 총 812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 노벨 물리학상] ‘빛의 혁명’ 선물한 과학자들
2014.10.07
밝혔다. 질화갈륨(GaN)을 근간으로 하는 화합물 반도체에 N형과 P형 불순물을 주입한 뒤
전류
를 흘리면 재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빛을 방출한다. 이렇게 전기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해주는 소자가 LED다. 1960년대 빨간색을 방출하는 LED 소자가 개발됐지만 파란색과 초록색 LED는 좀처럼 만들어지지 ... ...
화이트 그래핀 위에 그래핀 쌓았더니…
2014.09.12
특히 연구진은 화이트 그래핀 위에 놓인 그래핀이 마치 반도체처럼 스위치를 누를 때만
전류
를 흘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익스프레스’ 11일자에 실렸다. 손영우 고등과학원 교수는 “화이트 그래핀 위에 그래핀을 정교하게 배치하는 기술은 가임 교수팀만 보유하고 ... ...
단점 투성이 유기반도체의 화려한 변신
2014.09.01
하지만 기존에 개발된 것은 전하가 이동하는 정도가 낮아 동작 속도를 높이거나 많은
전류
를 공급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기존 유기반도체에 많이 쓰이는 물질 ‘펜타센’에 ‘TSB3’라는 유기 절연체를 접합시키는 방법을 개발해 얇은 유기반도체 박막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 ...
유리처럼 투명한 자석, 진짜?
2014.08.27
카본나이트라이드가 ‘팔걸이 의자’나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열되면 한쪽 스핀만
전류
를 만드는 ‘반쪽 금속성’을 가진다는 사실도 추가로 알아냈다. 반쪽 금속성은 전원이 꺼져도 정보가 그대로 남아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가져야하는 특성 중 하나다. 이 성질은 티타늄과 니켈 ... ...
세상에서 가장 가는 ‘금바늘’
2014.08.27
탐침은 아주 가는 전극을 신경에 접속할 때 이용하는 것으로 뇌에서 흐르는 미세한 신경
전류
를 측정할 수 있다. 간질이나 파킨슨병 환자의 뇌 전기 치료, BMI(뇌-기계 연결장치) 기술 개발, 사지마비환자의 신경연결기법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걸로 기대된다. 김봉수 KAIST 화학과 ... ...
전기 대신 열로 작동하는 차세대 메모리소자
2014.08.27
스핀의 방향이 바뀌는 속도는 전기를 썼을 때보다 1000배나 빨라졌으며 발생하는 스핀
전류
량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민병철 연구원은 “새로운 방식으로 작동하는 초고속 메모리소자를 구현한 만큼 차세대 초고속 메모리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 ...
유리 투명전극을 LED에?
2014.08.20
누설
전류
등 신뢰성 테스트도 양호하게 나타났다. 연구팀이 사용한 유리 투명전극이
전류
를 효과적으로 주입하고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한 덕분이다. 김 교수는 “최근 개발된 유리 투명전극을 실제 LED에 적용해 우수성을 입증한 최초 사례”라며 “LED뿐 아니라 태양전지 등 다양한 광전소자의 ... ...
“태블릿PC에서 내 뇌가 보여요”
2014.08.08
교수팀은 동물의 몸속에 넣어두면 미세한 움직임을 전기로 바꿔 8.2V 전압과 0.22mA의
전류
를 생성하는 스마트 센서인 초소형 나노발전기를 최근 개발했다. 이 발전기를 심장박동 보조기에 연결하면 배터리가 떨어져 몇 년마다 재수술을 받아야 했던 기존 장비의 불편함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 ...
연구논문 2개에 동시에 이름 올린 중앙대 교수
과학동아
l
2014.07.30
이 반도체를 휴대전화와 카메라 센서 등에 실제로 적용한 결과 지금까지 보고 된 센서 중
전류
증가가 가장 높았다. 손 박사는 “플라스틱 반도체가 실리콘 반도체를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한 셈”이라며 “휘어지는 전자기기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런 게 ‘일석이조 다이오드’
과학동아
l
2014.07.16
것으로 나타났다. 서 교수는 “다이오드 하나로 원하는 대로 저항을 조절해
전류
를 제어하는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소자나 센서 분야에 적용할 수 있고, 적은 에너지로 수소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는 새로운 에너지원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