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세상에서 가장 컸던 상어! 백상아리한테 먹이 뺏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상어 중 가장 큰 상어죠. 몸 길이가 최대 20m로 지금 바다에 살아 있는 상어 중 제일 큰 백상아리보다 3배 넘게 길어요. 5월 31일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제레미 맥코맥 연구원팀은 메갈로돈이 백상아리와 먹이 경쟁에서 밀려 멸종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를 발표했어요. 어떻게 알아낸 ... ...
- [통합과학 교과서] 하늘에서 안전하게 떨어지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낙하산 없이 뛰어내리는 도롱뇽이 있다?미국 캘리포니아주 서부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나무 중 하나인 미국삼나무가 자랍니다. 키가 약 100m로 30층 건물보다 높이 자라기도 하죠. 이 나무는 축축한 곳에 사는 양서류인 떠돌이도롱뇽의 집이기도 합니다. 나뭇가지 위를 돌아다니며 개미와 딱정벌레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0화. 행성 공장의 유령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보이는 거죠. 제가 가보겠어요!”딱지는 뿜뿜이라 불리는 대기조절기 앞에 섰습니다. 큰소리는 쳤지만, 막상 들어가려니 살짝 긴장이 됐습니다.‘들어가서 쭉 직진하면 제어실이라고 했지? 어차피 일하는 로봇들도 있으니 괜찮을 거야. 어떤 놈이 장난치는 건지 잡고 말겠어.’딱지는 문을 열고 ... ...
- [기획] 카마이클 수 비밀을 밝히다!수학동아 l2022년 12호
- 그러다 1994년 2와 4 사이에 소수 3이, 10과 20 사이에 소수 11, 13, 17, 19가 있듯이 X가 3보다 큰 자연수일 때 X와 2X 사이에 소수가 무조건 존재한다는 ‘베르트랑 가설’이 카마이클 수에도 적용될 거라고 추측했어요. 2016년 메이나드 교수는 소수의 분포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는데 라슨 학생은 여기에 ... ...
- 얼굴 노출 절대 금지! 국가 지키는 정보 보안 전문가수학동아 l2022년 12호
- 핵심 기술이 유출된다면? 상상도 하기 싫은 이런 일들이 일어난다면 우리나라는 큰 혼돈에 빠질 거예요. 실제 비슷한 일이 일어나 우리나라의 여러 시스템이 마비된 적이 있어요. 이처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행정·경제·산업 등 국가의 많은 기능이 사이버 공간에서 이뤄지는 만큼 정보 보안이 ... ...
- [가상인터뷰] 숲과 생태계를 지키는 박쥐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동굴을 떠올린다. 그러나 박쥐의 생활은 동굴 안보다 그 바깥 숲에서 활동이 더 큰 부분을 차지한다. 숲 생태계내 박쥐의 역할도 크다. 최근 이를 조명한 미국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박쥐의 중요성을 가상인터뷰 형식으로 재구성했다. doi: 10.1002/ecy.3903 Q 박쥐씨의 ... ...
- 블랙홀 씨, 우리 밥 한번 먹죠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입자가 튀어나온다. 이 양의 에너지를 가지는 입자의 흐름이 바로 호킹 복사다. 결국, 큰 틀에서 보면 블랙홀 내부의 에너지가 점차 줄어드는 셈이다. 블랙홀 밖의 입자는 블랙홀 속 입자와 입자-반입자 관계니 블랙홀 안에서 밖으로 어떠한 정보가 나온다고 볼 수도 있다. 사건의 지평선 내부를 ... ...
-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을 맞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수원청개구리를 보호하기 위한 서식지 복원 사업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그러나 가장 큰 변화를 맛본 사람은 시민과학 프로젝트에 참가한 사람들 본인이다. 10년 동안 지구사랑탐사대를 이끈 장이권 교수는 “처음에는 연구를 목적으로 시작했지만, 많은 시민과학자를 만나면서 삶이 ... ...
- [힉스 10년] 빅뱅보다 먼저 일어난 급팽창, 힉스가 원인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힉스 장의 에너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래프로 그려보니, 힉스 입자의 에너지가 매우 큰 상황 즉 초기 우주 상황에서 평평한 모양을 보였다. 시공간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에너지 값을 갖는 인플라톤 장의 특성이다. 실제로 우주 초기 힉스 장이 작용했다고 가정하고 우주의 팽창률을 ... ...
- [이달의 과학사] 1972년 6월 30일 1초가 늘어났다? 첫 윤초 도입!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하는데, 이 과정이 복잡하고 돈도 많이 듭니다. 그래서 실생활에서는 1초의 오차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니, 윤초를 폐지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2015년 열린 세계전파통신회의 결과, 우선 2023년까지는 윤초 시스템이 그대로 쓰일 예정이랍니다.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