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보조날개는 발사체의 진행 방향이 틀어지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도록 도와준답니다. 큰 추진력이 필요한 우주발사체는 연료가 담겼던 아랫부분을 여러 번 분리해 무게를 줄이기도 해요. 편도체(扁桃體, amygdala)편도체는 우리 뇌에서 기억과 감정을 담당하는 부위인 해마 끝에 달린 작은 아몬드 ... ...
- [특집] 꼭꼭 숨어라~ ‘평행선’ 보일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똑같이 생긴 원뿔이 하나 더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자세히 보면 그건 사실 멀리 이어진 큰길이에요. 길을 이루는 두 개의 선이 끝에서 만나, 마치 꼭짓점이 하나 있는 원뿔로 보여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는 평행선을 ‘아무리 길게 늘여도 절대 만날 수 없는 직선’이라고 정의★했어요. ... ...
- [이달의 과학사] 1888년 7월 23일 존 보이드 던롭, 공기타이어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자동차가 없었던 데다 자전거도 막 발명된 상태였고, 큰 수요가 없었던 톰슨의 발명은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잊혔습니다. 특허청마저 톰슨의 발명을 잊어버리고 던롭에게 특허를 잘못 발급했으니, 톰슨의 발명이 시대를 너무 앞서나간 셈이죠. 결국 던롭의 특허는 2년 만에 무효가 되었지만, 이를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부글부글! 화산폭발 관찰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y좌푯값이 20만큼 큰 곳에서 30만큼 큰 곳까지, z좌푯값이 20만큼 작은 곳에서 20만큼 큰 곳까지의 위치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곳에 블록을 놓는 명령이에요.➎ ‘반복-일시중지’ 명령블록을 가져와 시간을 ‘100ms(0.1초)’으로 바꾸세요. 0.1초마다 블록을 놓도록 하는 명령이에요.➏ ‘코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알려져 있습니다. 양서류는 대부분 곤충 등 작은 동물을 잡아먹고, 포유류와 조류처럼 더 큰 포식자에게 잡아먹히는 생태계 먹이사슬의 중간자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최근 기후 변화와 전염병 등의 이유로 그 수가 크게 줄어들고 있답니다 ... ...
- [특집] 내 최애와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소통의 발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SNS 등으로 국내뿐만 아닌 해외 팬도 함께 포용하는 형태가 됐습니다. 국경도 언어도 큰 걸림돌이 되지 못하죠. 더불어 실시간 라이브, 자체제작 콘텐츠 등으로 연예인과 팬 사이에 끈끈한 유대감이 생겼습니다. 연예인이 동경하는 대상에서 가족 같은 존재가 된 거죠. Q팬 문화의 순기능은 어떤 ... ...
- [특집] 미래의 날씨를 오늘로 불러오는 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수 있는 ‘과학’이 있다고요? 구름 씨앗을 뿌리면 비가 자란다? 최근 겨울철 가뭄과 큰 산불로 인한 피해가 커지고 있어요. 그래서 비의 양을 늘릴 수 있는 ‘인공강우’ 기술이 주목받고 있지요. 인공강우는 ‘구름 씨앗’을 뿌려서 비가 내리도록 하는 기술이에요. 눈이 내리게 할 때는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큰 영향을 미친 동물은 무엇일까요? 지치지 않고 먼 거리를 달리는 말은 인류 역사에 큰 흔적을 남겼습니다. 자동차가 없던 시절에 사람들은 말의 힘을 빌려 먼 거리를 이동하며 다른 문명과 교류하고 때론 침략하기도 했거든요. 말이 어떻게 그렇게 달리기를 잘하는지 궁금하다면 영상에서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0화. 행성 공장의 유령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보이는 거죠. 제가 가보겠어요!”딱지는 뿜뿜이라 불리는 대기조절기 앞에 섰습니다. 큰소리는 쳤지만, 막상 들어가려니 살짝 긴장이 됐습니다.‘들어가서 쭉 직진하면 제어실이라고 했지? 어차피 일하는 로봇들도 있으니 괜찮을 거야. 어떤 놈이 장난치는 건지 잡고 말겠어.’딱지는 문을 열고 ... ...
- [4컷 만화] 지구에서 가장 큰 생물은 바닷속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가장 큰 생물이 호주 서부 샤크만 해저에서 발견됐어요. ‘포시도니아 오스트랄리스’라는 이 해초는 축구장 면적의 2만 배 넘는 크기였지요. 리본 모양을 닮아 ‘리본 잡초’라고 불리기도 해요. 6월 1일 호주 서호주대학교 해양연구소 엘리자베스 싱클레어 연구원팀이 발견해 발표했습니다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