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신"(으)로 총 9,42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거꾸로 하늘을 나는 코뿔소?! 동물들과 함께하는 이그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일찍 깰 위험이 있거든요. 코뿔소는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의식을 잃은 상태이므로 자신이 날아간다는 것을 알 수 없습니다. 사람들이 수술하기 전에 마취를 받아서 고통이나 수술 과정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원리랍니다. Q과학자를 꿈꾸는 한국의 어린이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 ...
- [특집] 바란다! 어린이가 안전한 나라 남은 미션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이들이 일상을 회복하도록 돕는 정책들이 필요해요. 아이들이 친구들과 뛰어놀고, 자신의 꿈을 위해 준비할 시기에 재난 피해로 남들이 누리는 것을 다 누리지 못하면, 그들의 삶이 온전히 회복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프랑스 석면피해보상기금을 사례로 보면, 보상률을 책정할 때 여가 생활을 ... ...
- [마인크래프트] 나만의 마법 무기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명령블록을 가져오세요. 14 ‘플레이어-말하기’ 명령블록을 가져온 뒤 대상을 자기 자신으로 바꾸고 에너지가 부족하다는 메시지를 적으세요.15 코드작성기의 ‘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세요. 16 아까와 같은 방법으로 아이템을 사용해보세요. 에너지가 충분하지 ... ...
- [특집] 밝혀라! 어린이가 재난에 취약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하실 말씀은요? 이미선 누구나 힘든 경험을 하면, 종종 혼란스러울 수 있어요. 자기 자신을 탓할 수도 있고요. 처음에는 당황스러울 수 있지만, 이 모든 건 ‘정상’이에요. 힘든 일을 겪는 친구가 있다면 “울어도 괜찮아, 몸이 떨려도 괜찮아, 자연스런 반응이야”라고 따뜻하게 말해 주세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프로 팩트체커가 되고 싶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의심하고 진짜와 가짜를 판별할 수 있어야 해요. 그래야 미디어의 위험으로부터 우리 자신과 사회를 지킬 수 있어요.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정보를 판별해야 할까요? 먼저, 항상 정보의 출처를 믿을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해요. 가까운 친구, 좋아하는 인플루언서가 말해서가 아니라, 전문가와 ... ...
- [4컷 만화] 문어, 화나면 진흙 던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주변을 정리하기 위해서 조개껍데기를 던졌지요.특히 연구팀이 주목한 행동은 문어가 자신을 귀찮게 만드는 상대에게 진흙을 던지는 모습이었습니다. 한 암컷 문어의 경우, 짝짓기하자고 다가오는 수컷에게 진흙 덩이를 10번 던져 그중 5번을 맞추기도 했어요. 문어의 던지기 행동에 사회적 의미가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월드 설계의 필수 조건, NPC를 활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불러요. 아래와 같이 약속된 문법으로 대상을 지정해 명령할 수 있답니다. @s: 자기 자신, @p: 가장 가까운 플레이어, @r: 랜덤 플레이어, @a: 모든 플레이어, @e: 모든 엔티티, @initiator: npc와 상호작용하는 플레이어 또, @e[name=steve]처럼 규칙을 추가하여 네임태그가 steve인 특정 엔티티를 지정할 수도 ...
- [기획] 우리 몸이 해킹당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유전자 조작 약품을 직접 주입하기도 했어요.바이오해킹을 염려하는 목소리도 있어요. 자신의 몸을 실험 대상으로 삼아 유전자 변형을 시도하는 경우 실험 과정에서 예측할 수 없는 사고가 생길 수 있어요. 미생물이나 유전자 정보를 안다고 사람이 병에 걸리는 이유를 모두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할로윈 특집 우리 집 부엌에 귀신이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분자들은 이런 인력을 모든 방향에서 골고루 받지만, 물 표면에 있는 물 분자들은 위쪽에 자신을 잡아당기는 물 분자가 없으므로 물 안쪽으로만 인력을 받지요. 이런 탓에 물의 표면적을 최대한 작게 만들려는 ‘표면 장력’이 물의 표면에 생겨요. 요술봉에 묻혔던 주방세제는 물의 표면 장력을 ... ...
- [가상 인터뷰] 딸랑딸랑~, 가까운 듯 멀리 떨어진 방울뱀 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어떤 전략이야?연구팀이 서부다이아몬드방울뱀으로 실험한 결과, 방울뱀은 물체가 자신에게 가까이 올수록 꼬리를 빠르게 흔들었어. 방울 소리의 주파수가 40㎐에서 60~100㎐로 증가했지.이후 방울뱀 소리를 참가자에게 들려주며 방울뱀이 가까이 접근했다고 생각될 때 신호를 달라고 했지. 방울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