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d라이브러리
"
반도체
"(으)로 총 1,628건 검색되었습니다.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낸드는 저장 용량이 커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 등에 쓰인다.킹 오브 메모리차세대
반도체
메모리의 승자는 누가 될까? P램, F램, M램, 스핀트로닉스, 나노튜브와 나노와이어 등 세계적으로 기업마다 주력하는 종류도 다르다. 하지만 최후의 승자가 누가 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 ... ...
나노 눈으로 세상을 보는 탐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이 나노 단위의 기술을 통해
반도체
와 같은 물체의 표면을 연구하는 것이에요. 예를 들면
반도체
의 원료가 되는 원자를 한 층 한 층 쌓아 놓고 이 원자들이 제대로 쌓여 있는지, 그 성분은 정확한지 실험하는 것이랍니다. 박사님은 나노표면과학 분야에서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세계에서 최고라고 ... ...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할 돈은 10억원이 넘는다. 이처럼 기하급수는 인간의 보편적 예측과 관념을 뛰어 넘는다.
반도체
칩의 집적도가 2년마다 2배로 늘어난다는 ‘무어의 법칙’이 바로 이런 기하급수의 법칙이다.한 가지 예를 더 들어보자. 언제나 내기에서 이기는 방법을 아는가? 방법이 있다. 이길 확률이 몇%이든지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구조 등 모습뿐만 아니라 어떤 물질인지도 알 수 있게 된다.1995년 ‘옵티컬 레터스’에는
반도체
칩과 나뭇잎의 투과영상이 실렸다. 많은 과학자들은 이 영상에 흥분했다. 투과영상을 찍은 대상 자체는 특별할 것이 없었지만 투과영상 기술이 바로 T선이었기 때문이다. 이 투과영상 덕분에 많은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유체의 흐름 같은 순간적인 현상을 규명하는데 이용하기도 한다.메모리 분야에서도
반도체
의 저장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방법으로 펄스 레이저 홀로그램이 주목받고 있다. 필름에 방대한 양의 정보를 한번에 기록할 뿐만 아니라 일부가 손상돼도 전체 정보를 복원할 수 있는 특성 덕분이다. 펄스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필요로 하는 물질을 찾아 내고, 실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칩이 점점 작게 개발되고 있는데요. 크기를 작게 하면서 성능이 뛰어난 신물질을 찾아 내는 일도 교수님의 연구가 큰 역할을 한답니다.이러한 연구로 세계적인 인정을 받은 교수님이지만 힘든 일도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자기부상열차와 연료전지차에 들어가는 최고급
반도체
가 된다. 연구팀은 이미 KTX에
반도체
를 공급하는 일본기업에 이 기술을 역수출해 국산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했다.의료 연구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 중 붕소중성자포획치료법(BNCT)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붕소는 열중성자를 잘 ... ...
나노 세계의 마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좋아하는 TV와 컴퓨터 등 나노 기술이 쓰이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랍니다. 조그만
반도체
하나에 수천 곡의 음악이나 70년 동안 발간된 40면 신문 기사 내용을 모두 저장할 수 있을 정도니 굉장하죠?나노의 세계는 너무 작아서 맨눈으로는 절대로 볼 수 없어요. 빛을 이용한 광학현미경으로도 관찰할 수 ... ...
돈 잘 버는 사람이 최고 공학자 박희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세계 시장을 보고 시작했지만 요즘 박 사장의 꿈은 더 커졌다. 그의 사무실 벽에는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 1위부터 10위까지의 기업을 적어놓은 표가 붙어 있다. 박 사장은 “매출이 1조원을 넘기면 4, 5위 정도 할 것”이라며 “2010년까지 해야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우리 회사의 강점은 먼저 ... ...
50나노급
반도체
신재료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50나노급 차세대
반도체
를 위한 기초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포항공대 화학과 이문호 교수팀은
반도체
선폭을 머리카락 2000분의 1 굵기인 50나노미 ... 실현했다. 이 교수는 “이 유전박막은 안정성과 가공성이 뛰어나 50나노급 이하 차세대
반도체
생산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