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d라이브러리
"
반도체
"(으)로 총 1,62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의 미답지로 가는 여행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직열형 열음극과 원통모양의 음극 속에 가열용 히터를 넣은 방열형 열음극이 있다
반도체
에 강한 전기장이 작용하면, 전도전자가 전기장에 의해 가속되어 얻는 에너지의 증가 비율이 전도전자와 결정격자의 충돌에 의한 전자의 에너지 감소비율을 넘어, 전도전자군의 온도가 결정격자의 온도보다 ... ...
반도체
칩 위의 건축가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설계해 유리판 위에 그린다. 이것을 ‘마스크’(mask)라고 한다. 이 마스크를 이용해
반도체
재료인 웨이퍼 위에 회로를 그려 넣는다. 칩을 하나 설계할 때마다 마스크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 당연히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그러나 신 교수는 칩의 구성 요소들을 미리 각각의 마스크로 만들어 뒀다가 ... ...
2. 한류 DNA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눈이 작습니다. 눈이 작은 한국 사람들은 매우 섬세하고 정확합니다. 그래서
반도체
부분에서 최강국입니다.2. 한국 사람들은 불평이 많습니다. 불평 많은 한국 사람들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많습니다. 그래서 휴대전화 신제품이 매달 나옵니다.3. 한국 사람들은 밥을 빨리 먹습니다. ... ...
플라스틱으로 만든 나노 칵테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LED는 전력이 적게 들어 이상적인 조명기구로 꼽힌다.빛 대신 나노 물질을 사용해서
반도체
를 제작하는 ‘소프트 리소그래피’ 기술도 박 교수팀이 심혈을 기울이는 분야다. PDMS라는 유연한 탄성체를 이용하면 곡면 위에서도 각종 소자를 제작할 수 있고 고압 상태에서나 유독성 물질을 쓰지 않아도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되돌아보는 계기가 됐다. 1987년 10월 특집으로 다룬 ‘극한의 과학’은 손톱만한
반도체
등 한국에서 개발되고 있던 첨단기술을 소개해 국내 기술에 대한 자부심을 일으켰다. 과학교사와 함께 다녀온 생태탐사는 한국의 아름다움을 독자들에게 선보였다.특히 이 시기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전자가 전체 전류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SCR와 통일한 특성을 가지게 한
반도체
소자질산암모늄 고체에 마른 암모니아 가스를 보내 염이 암모니아를 흡수하고 점차 액체화하여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무색 액체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다이버스용액이라고 한다 등축정계(等輔晶系)에 ... ...
아주 특별한 숫자 1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뜻하는 영원한 숫자인 것이다. 빛은 1초에 30만㎞를 이동하고 소리는 340m를 나아간다.
반도체
64메가 D램은 1초에 10억 번까지 계산을 할 수 있다. 1초동안 정자는 0.1㎜를 움직이고 가장 빠른 달팽이는 0.233㎝를 갈 수 있다.모기는 1초에 600회의 날갯짓을 할 수 있고 파리는 200회, 꿀벌은 190회에 달하는 ... ...
금성의 베일 벗길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등의 전하전송(電荷轉送) 디바이스, MOS(금속산화물
반도체
) 촬상소자 등이 있다 금속 또는
반도체
내부의 자유전자와 이온격자 또는 자유 전자와 양공의 계를 플라즈마의 일종으로 본 것 실내온도나 그 이하에서도 플라즈마 상태로 간주되고, 매우 높은 전자농도가 간단히 실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 ...
지진 생존자를 위한 '따뜻한 텐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재료를 박편(薄片) 또는 막상(膜狀)으로 만들어 사용한다적외부에서 작동하는 것도 있다
반도체
처럼 빛이 닿으면 빛의 에너지를 흡수해서 전하(電荷)를 나르는 하전체(荷電體)의 양이 증가하고 전기 전도도(電氣傳導度)가 증가하는 성질(광전도성 ; 內部光電效果의 하나)을 가진 재료 광도를 ... ...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물리학과가 존재하지 않고, 대구대나 영남대는 대학원의 규모가 줄었다. 물리학과 대신
반도체
학과, 디스플레이학과, 디지털물리학과 등 ‘돈 냄새 풍기는’ 이름으로 바꿔서라도 물리학과를 유지하려는 대학도 있다.상황이 이렇게 된 이유로 전문가들이 한결같이 지적하는 요인은 “학생 수가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