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견
사색
사고
마음
느낌
아이디어
착상
d라이브러리
"
생각
"(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달나라 탐험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작가인 쥘 베른은 달의 중력에 사로잡힌 대포알도 케플러의 법칙을 따를 것이라
생각
했던 것입니다.비율로 따지면 누가 높을까?달의 최고봉은 7603미터이고, 이것은 지구의 일부 산보다는 낮다. 지구의 산들 가운데 일부는 달의 산보다 1000미터 내지 1200미터는 더 높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이 하나 ... ...
오른쪽? 왼쪽? 보행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사람들이 이렇게 방향을 따지는 게 조금 이상하게 느껴지기도 해요. 하지만 사람도 나름
생각
을 하는 동물이니 뭔가 이유가 있겠지요?그런데 조사를 해 보니 이 나라에서 ‘자동차는 오른쪽, 사람은 왼쪽’으로 가는 원칙을 정한 것은 순전히 우연이라는군요. 100년도 더 전인 1905년, 이 나라가 ... ...
특별인터뷰 전국 여중생 수학탐구 발표대회 수상자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암호를 알아가는 과정이 즐거웠어요.암호를 잘 풀기 위해서는 어떤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
하나요?암호를 만들어 보니 수와 식에 대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과 규칙성을 찾아내는 안목이 중요했어요.학생들을 지도하신 김성애 선생님께도 여쭙겠습니다. 학생들이 암호를 만들고 풀어 보는 ... ...
2. 수학으로 마술하기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식빵 영원히 먹는 법?지난 7월, 미국 농무부는 올해 가난한 나라 70개국의 기아인구가 최악의 경우 9억명을 넘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자들 ... 것은 아무 의미없는 계산이다. 1000원은 사라지거나 계산이 틀린 것이 아니라 잘못된
생각
이 낳은 오류에 불과하다 ... ...
3. 서프라이즈! 수학으로 본 세상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41명을 넘으면 생일이 같은 두 사람이 있을 확률은 90%를 넘는다. 이처럼 수학은 우리의
생각
을 뛰어넘는 결과를 보여 주기도 한다.오묘한 수학의 세계를 탐험한 느낌이 어떤가요? 딱딱하고 지루할 것 같은 수학에도 신비로움이 가득 숨어 있어요. 오늘 발견한 수학의 매력을 주변 사람들과 나눠 ... ...
매스큐브와 함께 수학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친구들! 책상에 시계큐브를 올려놓고 시간이 날 때 마다 시계에 더 신기한 비밀이 없는지
생각
해 봐요. 2교시 피라미드의 수학! 피라미드큐브시계 속에 수학이 숨어 있다니. 참 신기하죠? 이번 시간에는 피라미드를 만들어 본다는군요! 피라미드에는 어떤 수학이 있는 걸까요? 얼른 따라가 봐요. 고고 ... ...
아시아의 핫 아이콘 f(x)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좋겠어요!-루나: 실력을 인정받는 가수와 f (x)가 되도록 열심히 노력할게요!-설리: 음….
생각
해 본 적은 없지만 국민 여동생이라는 수식어처럼 모든 분들에게 사랑받는 f (x)의 설리가 될게요.-크리스탈: 한국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사랑받는 f (x)와 크리스탈이 되고 싶어요.f (x)가 9월에 데뷔한 것처럼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저전력, 소형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인간의 탐구심은 빛보다 더 큰 잠재력을 가진다고
생각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단백질 합성공장 리보솜 비밀 밝혀세포 수명 조절하는 원리 규명브래지어 방독면 개발에서 임신부 척추 ... ...
달에 돌진한 LCROSS, 물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가장 중요한 기준은 수소분포가 집중된 지역인지 여부였다. 즉 물이 가장 많을 것으로
생각
되는 지점을 선정하려는 의도였다. 최근 찬드라얀과 LRO가 관측한 자료에 따르면 모든 영구그림자 지역에 수소가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는 것은 아니며 때로는 영구 그림자 지역이 아닌 곳에서도 수소가 ... ...
달 복제토, 제2 남극기지 만드는 극한토목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10분이면 완전히 굳기 때문이다.“사람들은 극한환경 토목기술이 먼 미래의 일이라고
생각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주위에는 이미 이런 기술이 개발돼 쓰이고 있습니다.”이 교수는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부산과 거제도를 잇는 거가대교 가운데 바닷속으로 3.7km에 걸쳐 놓이는 침매터널을 ... ...
이전
781
782
783
784
785
786
787
788
7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