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뉴스
"
개체
"(으)로 총 1,069건 검색되었습니다.
혹성탈출 보기 전 알아두면 좋은 과학지식 셋
동아사이언스
l
2017.08.11
2배 가량 힘이 세고, 유전공학의 힘을 빌리면 영화 속 침팬지처럼 지능이 뛰어난
개체
가 나올 수 있다. - 20세기폭스코리아 제공 “유인원은 뭉치면 강하다.” 침팬지 ‘시저’는 유난히 뛰어난 지능을 가졌다.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임상실험을 받던 어미에게서 태어났다. 15일 개봉하는 영화 ... ...
식물과 두뇌의 성장이 유사하다?
과학동아
l
2017.08.10
사켓 나블라크하 박사팀은 수수, 토마토, 담배 등 구조가 서로 다른 세 종류의 작물 557
개체
를 심어 다양한 자연 조건에서 키웠다. 그리고는 다 자랄 때까지 20~30회에 걸쳐 고정밀 3D 스캐너로 가지가 공간에 어떻게 분포하는지 그 변화를 관찰했다.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식물 가지의 ... ...
세계 최대의 거미?
팝뉴스
l
2017.08.09
비슷하다. 사람도 위협할 수 있는 포스를 가진 거미라는 평가다. 실제로 가장 큰
개체
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남아메리카 골리앗 타란툴라는 최대 크기의 거미 종인으로 알려졌다. 해외 네티즌들은 이 거대 거미가 뱀이나 닭도 잡아먹을 것 같다며 공포감을 표현했다. 한편 영상을 공개한 ... ...
만화 같은 딱따구리의 힘 ‘화제’
팝뉴스
l
2017.08.04
시민이 다급히 신고 전화를 했다고 한다. 보통 딱따구리와 비교해 월등히 강한 힘을 가진
개체
였을 것이다. 한편 위 사진은 해외 SNS에서도 인기가 높은데 만화 영화에서 볼 상황이어서 재미있다는 반응도 적지 않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 ...
상어에 다리 잃은 남자
팝뉴스
l
2017.08.03
마이크 쿠츠는 상어가 대단히 아름다운 동물이며 인간이 갖고 있는 적대감 때문에 점차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다고 지적한다. 또 샥스핀 요리를 만들어 팔려는 인간의 탐욕도 상어를 위기에 몰아넣고 있다며 관련 사진도 게시했다. 상어를 아름답고 소중한 생명체라고 주장하는 마이크 쿠츠. 사진 ... ...
지구상 최초의 꽃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02
암꽃과 수꽃이 모두 피는 것이며, 자웅이주는 버드나무와 같이 암꽃과 수꽃이 아예 다른
개체
에서 피는 것을 말한다. 연구팀은 최초의 꽃이 5개 이상의 암술과 10개 이상의 수술, 그리고 암술과 수술을 보호하는 하얀색의 꽃덮개 등 세 가지로 매우 단순하게 구성돼 있었을 것으로 분석했다. ... ...
‘황금박쥐’가 멸종위기종이 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7.13
연구원은 “붉은박쥐는 마지막 빙하기에 기후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며
개체
수가 줄어들었다”며 “이 상황에서 약 1만 년 전 현생인류가 등장해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현재 멸종 위기 상태에 놓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미국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학술지(PLoS ONE‧플로스원)에 5일 ... ...
멸종위기 곤충을 보존하라!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7.12
” 이어서 박물관과 생물 다양성 센터도 둘러봤어요. 애벌레와 곤충 500여 종(약 13만
개체
)의 표본이 썩지 않도록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었답니다. 나비 표본을 들고 있는 이준이 학생. - 김정 기자 제공 ● 애벌레는 한 가지 식물만 먹는 ‘스페셜리스트’ 다양한 종의 애벌레를 관찰하면서 한 ... ...
낙동강 한강 녹조 비상, 장맛비에 누그러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6.29
세포 4만1081개가 존재해 ‘경계’경보 상태다. ※ 환경부의 수질예보제란? 남조류
개체
수나 그들의 광합성으로 발생하는 클로로필-a 농도에 따라 ‘평상·관심·주의·경계·심각’ 등 5가지 단계로 구분한다. 남조류 세포 수가 1㎖당 1만 개를 넘으면 클로로필-a 농도와 관계없이 관심 단계를 ... ...
해부하지 않고도 실험 동물 변화 알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28
제대로 잡히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 장치를 이용하면 전극 삽입 수술을 하지 않고 한
개체
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연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뇌 뿐만 아니라 심장 근육이 만드는 자기장도 측정 가능하다.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불규칙적으로 뛰는 부정맥을 관찰할 수 있어 심장질환을 치료하는 신약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