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뉴스
"
개체
"(으)로 총 1,069건 검색되었습니다.
[팔라우 힐링레터] 열대바다는 언제나 크리스마스
2017.12.24
마치 크리스마스 트리를 닮은 모양새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종류이다. 몇 개의
개체
가 몰려 있는 경우도 있다. 제임스정 제공 스노클링으로도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녀석들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들에게 가까이 접근하면 관 안으로 숨어버리고 만다. 조심히 다가가서 관찰해야만 자세히 ... ...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20
이조차도 반대였다. 연구팀은 시상식에서 “이제 더 이상 단순히 페니스를 가진
개체
를 수컷이라고 말할 수는 없게 됐다”고 말했다(doi:10.1016/j.cub.2014.03.022). 인간의 피가 흡혈박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엔리코 버나드 브라질 페르남부쿠연방대 동물학과 교수팀은 영양학(nutrition)상을 받았다. ... ...
바이오인공장기ㅣ“의사선생님, 제 장기는 새 것으로 교체해 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2.06
장기와 얼마나 닮은 장기를 가지고 있는지 또는 기술이 완성됐을 때 수요를 충당할 만큼
개체
수가 충분한지 등 다양한 점을 고려해 이종장기이식을 위해 돼지가 핵심 동물로 선정돼 사용되고 있다. 다른 동물들과 비교해 보면 우선 쥐와 같은 소형 포유류는 돼지보다 관리가 수월하지만 장기의 ... ...
애써 보호한 수마트라 호랑이 또 사라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2.06
밀도가 약 47%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서식지가 겹쳐 산다는 뜻으로, 연구팀은 호랑이가
개체
별로 활동영역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루스킨 박사는 “서식밀도가 높아져 온전한 야생 생활을 할 수 없는 것은 호랑이 생태계의 심각한 경고 신호”라며 “수마트라 호랑이를 ... ...
플라나리아 무한 재생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03
개체
2개로 변한다. 128조각으로 자른 경우에도 각 조각이 각각 서로 다른 플라나리아
개체
로 재생됐을 정도로 재생 능력이 강력하다. 그러나 플라나리아가 대체 어떤 과정을 거쳐 재생 능력을 보이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사실이 극히 적다. 레디엔 교수팀은 플라나리아가 신체를 재생할 때 ... ...
왼손잡이의 비밀, 아프리카 물고기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9
며 "복잡한 인간의 신경과 유전자의 작용을 밝히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보다 간단한
개체
를 통해 다각도로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 아프리카 물고기 시클리드로 왼손잡이 비밀 풀까? 최근 아프리카 탄자니아 탕가니카 호수에 서식하는 물고기 종인 시클리드(Perissdous microlepis)에서 ... ...
북아메리카 비둘기가 멸종한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같은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
개체
군이 크고 안정적인 종일지라도 급격한 환경 변화로 인해 멸종할 수 있다’는 것이 교훈이라고 밝혔다 ... ...
[과학&기술의 최전선] 게놈 해독도 오픈소스 바람 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7
함유돼 있는 어류들의 DNA를 해독해 올해 4월 ‘플로스원(PLoS ONE)’에 발표했다. 연구 결과
개체
수가 많은 종의 경우 종의 존재를 81%까지 정확히 검출할 수 있었다. 스토클 교수는 “어류의 지역별, 시기별 분포를 저렴하면서도 정밀하게 알아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
크리스퍼 가위 교정 식품이 식탁으로 들어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GM 기술은 개량에 필요한 유전자를 선별해 박테리아와 결합한 뒤 개량하고자 하는
개체
에 삽입하는 과정이다. 쉽게 말해서 크고 단 토마토를 만들기 위해 전통 육종은 큰 토마토와 단 토마토를 반복 교배시키며 원하는 품종이 선별되길 기다리고, GM 기술은 큰 토마토의 유전자를 빼와 단 토마토에 ... ...
나비 무늬 결정하는 유전자 어떻게 진화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1.08
doublesex)라 부르게 됐다. 연구팀은 아시아 지역에 사는 호랑나빗과의 제비나비 5종 총 61
개체
의 유전자를 분석해 계통도를 작성했다. 또 의태 능력이 있는 종과 없는 종으로 나눈 뒤, 전체 유전자 중 슈퍼유전자 부위의 차이를 비교했다. 이를 통해 200만년 전 공통 조상에서 호랑나빗과 곤충이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