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뉴스
더 빠른 말·고기 많은 양…동물 유전자 교정, 전세계 확산
동아사이언스
l
2025.09.07
건강에 의도치 않은 영향을 미치거나 바뀐 유전자가 자손에 전달되면서 야생동물
개체
군까지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다. 잔틴 룬쇼프 미국 하버드 의대 교수는 네이처에 "어떤 동물을 어떤 목적으로 사용할 것인지가 핵심 질문"이라고 밝혔다. ... ...
[동물do감] 유령상어 이마에 달린 이빨, 짝짓기 도구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05
연구팀은 3억1500만 년 전 고대 유령상어 화석과 미국 퓨젓사운드 만에서 채집한 현생
개체
를 분석해 이마에서 자라는 막대 모양의 기관인 ‘테나큘럼(tenaculum)’이 진짜 치아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4일(현지시간) 게재됐다. 연구팀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혼자가 아니다…'1조 미생물과 함께 사는 생태계'
동아사이언스
l
2025.08.30
순환) 과정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식물을 단순히 혼자 살아가는
개체
로 보지 않고 나무와 그 안에 사는 미생물이 함께 하나의 생명 단위처럼 봐야 한다는 생각을 뒷받침한다. 나무 속에 사는 미생물들은 단순한 '식객'이 아닌 나무가 건강하게 자라고 병을 막으며 숲 전체가 ... ...
[동물do감] 비만 걱정 없는 오랑우탄…사람보다 ‘운동·식단 관리’ 뛰어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28
줄이고 휴식 시간을 늘려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했다. 오랑우탄이 과일이 부족할 때 다른
개체
와 어울리는 시간을 줄이고 일찍 잠자리에 드는 등 행동을 바꾼다는 점도 관찰됐다. 이렇게 확보한 대사적 유연성과 행동 조절 능력은 인간의 ‘간헐적 단식’과 유사한 효과를 내며 건강 유지에 기여하는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2억4700만년 전 파충류, 깃털 달린 공룡 증거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8.02
조류의 깃털과는 독립적으로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미라사우라의 볏은 다른
개체
와의 신호 교환이나 포식자 방어 등 시각적 통신 기능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털, 깃털 등 복잡한 피부 구조를 발달하는 데 필요한 유전자가 조류, 포유류, 파충류의 공통조상격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해양보호구역서 불법 여전하지만 "지정 효과 유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25.07.27
24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해양보호구역은 해양 생태계 중에서도 특히 어류
개체
군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다. 해양보호구역마다 어업과 기타 활동을 완전히 금지하거나 일부 허용하는 등 보호 수준이 다양하다. 해양보호구역이 실제로 해양 생태계 보호 효과를 얼마나 달성하는지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백악기 북극에서 공생한 새와 공룡
동아사이언스
l
2025.06.01
공개했다. 북극제비갈매기 등 북극에 사는 조류는 전체 조류의 극히 일부지만
개체
수가 많고 극지방 생태계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북극 조류에 대한 진화적 기원은 그동안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북부 알래스카에서 약 7280만년전 백악기 후기 지층인 프린스 크릭층에서 원시 조류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북미 야생말이 사라진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5.18
바뀌며 먹이 접근성이 나빠졌고 말의 이동성은 떨어졌다. 이런 환경 변화가 북미 말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진 것이다.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무스나 엘크 같은 동물은 살아남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원주민 전통 지식인 라코타족의 ‘미타쿠예 오야신(Mitakuye Oyasin)’ 개념에 주목했다.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화보] 멸종 위기 동물 사진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열심히 찍었던 것처럼요. 실제로 멸종 위기에서 벗어나고 있는 새가 있어요. 2013년 3월,
개체
수가 100마리 미만인 플로리다 메뚜기참새를 찍어 새 전문 잡지인 의 표지를 장식한 적이 있어요. 이를 계기로 미국 정부는 메뚜기참새에 대한 번식 캠페인 비용을 늘렸지요. 덕분에 2019년 번식 ... ...
[특집] 집비둘기, 왜 많아졌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지금은 전남 구례군, 경기 연천군 등 4곳에서 200여 마리만 살고 있어요. 낭비둘기의
개체
수가 줄어든 이유 중 하나는 집비둘기와의 잡종화로 추정됩니다. 가까운 도시의 집비둘기가 낭비둘기의 서식지로 터전을 옮겨 낭비둘기와 짝짓기를 하고, 그 결과 낭비둘기도 집비둘기도 아닌 잡종이 태어난 ... ...
[특집] 비둘기 먹이주기 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4년 사이 1.5배 가까이 증가했지요. 우리나라는 이러한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 집비둘기의
개체
수를 줄일 방안으로 집비둘기 먹이 금지 법안을 만들었습니다. 집비둘기의 먹이를 줄여 번식률을 떨어뜨리기 위해서예요. 비둘기는 먹이원이 충분해지면 추운 겨울철을 제외하고 언제든지 번식할 수 ... ...
[특집] 비둘기, 인간과 함께 살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것만으로 인간과 집비둘기가 함께 살기는 어려워요. 우리의 인식이 바뀌지 않는다면
개체
수가 줄어도 여전히 털 날림 등의 이유로 불편해 할 수 있죠. 동물자유연대 사회변화팀 정진아 팀장은 “집비둘기로 인한 실질적인 피해에 대해서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민원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집비둘기를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현장 교육
기사
l
20250823
것이 좋다고 배웠습니다. 마지막에는 우화하는 매미도 관찰하였습니다.지구온난화와 서식지 파괴로 도심의 매미의 종류에 따라
개체
수가 줄어든 매미종이 있고 늘어난 매미 종이 있습니다.우리 동네 서식지의 환경과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매미종을 관찰하고 탐사기록도 하고, 자연과 다양한 생물종들을 소중히 여기며 보호하는 역할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지 ...
2025 지구사랑탐사대 13기 여름캠프 - 지리산생태탐방원
기사
l
20250806
갔습니다.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에서 반달가슴곰 탐방프로그램 활동을 하였습니다. 산업개발과 환경오염 등으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
수가 감소되어 100만종에 달하는 동식물이 멸종위기에 처해있습니다.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해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된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사업, 설악산 오대산 월악산 산양 복원사업. 소백산 여우 복원사업을 활발하게 ...
오랜만에 와서 글 던지고 튀기
포스팅
l
20250723
‘또 시작이네.’라고 말하는 듯했다. “너, 여기가 뭐 하는 데인지는 알지?” “그걸 누가 모르나요. 일명 ‘좀비’라고 불리우는
개체
들로부터의 인류 최후의 보루, 제1 연구소잖아요. 당신은 이곳 최정예 연구팀인 1-34 연구팀의 팀장이고요.” “맞아, 그랬지. 그럼 우리가 뭘 연구하는지도 알겠네.” “너무 뻔한 질문인데 답이 백신은 아니 ...
사비나 미술관 방문 후기
기사
l
20250705
여행비둘기에요!!! 제가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멸종된 새에요. 정말 긴 거리를 날아서 횡단하는 특이한 비둘기입니다. 원래는 정말
개체
수가 정말 많았는데 횡단하는 나라의 사람들에게 총살되어 멸종되었다고 해요. 아쉬워ㅠㅠ. 우리 나라에 정말 많은 새,비둘기입니다. 아까 흰비둘기를 포함하는 종류이며,아까 말했듯이 사람들이 더럽다고 쫓아 버리는 ...
쓰래기 아포칼립스(캐신 홍보)
포스팅
l
20250625
쓰래기 아포칼립스로(쓰읍 단어가 쫌)다크 판타지입니다.세계관은 쓰래기에 오염되어 생물들이 그에 맞게 기하급수적으로 일부
개체
들이 진화하면서 시작됩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사상자가 매우 많이 나왔어요. 그 다음은 국가라는 계념이 잠깐 삭제됬습니다. 근데..... 군대에서 그 괴물들을 잡기 시작하면서 한 조직의 기틀이 마련되게 됩니다. 군대에서 활동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