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쿨리포트 A+ ] 과학시간 야외 관찰, 교내 암석 보물찾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전에 암석 표본을 관찰하는 수업에서 암석의 색깔, 무늬, 알갱이 크기 등 다양한 관찰 기준들을 잘 살펴두세요. 암석을 발견하면 시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을 이용해 2~3가지 이상 암석의 특징들을 찾아보세요. 지우개나 연필을 이용해서 암석이나 광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등의 정량적인 관찰도 ... ...
- [매스미디어] START-UP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가짜인지 더 잘 가려낼 수 있도록 학습한다. 이때 두 신경망의 성능을 판단하는 기준은 ‘확률’이다. 진짜와 가짜 데이터의 확률 분포 그래프를 비교해서 진짜 데이터일 확률의 함숫값을 구하는데, 이 값이 0.5가 될 때까지 두 인공 신경망의 학습을 계속하면 판별 신경망은 더이상 진짜인지 ... ...
- 학교가 끝나고 나면 수학 선생님의 은밀한 잡생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다르게, 수학 교사를 그만두고 새로운 직업을 찾은 분들도 만나봤습니다. 두 분이 어떤 기준으로 새 직업을 찾았는지 듣다보면 여러분도 진로를 찾을 방법을 알게 될지 모릅니다. 자, 집중~! 당신을 바꾸는 마법의 시간 3개월안녕하세요, 수학 교사였다가 현재는 소설가이자 아마추어 복서로 활동 ... ...
- 2020 이그노블 팩트체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한정한 것처럼, 지구 표면의 모래알을 기준으로 계산해 보면, 사막과 해변의 총면적을 기준으로 구한 모래알 수는 100해 개입니다. 정리하면 우리가 볼 수 있는 최소 별의 수가 사막과 해변의 총 모래알 수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겁니다. 실제로는 별의 수가 더 많을 가능성이 높은 셈이죠 ... ...
- [특집] 직접 만들면 전율! 미궁 게임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서버가 다운될 정도로 반응이 좋았고, 이후 여러 커뮤니티에서 입소문을 타며 11월 11일 기준 5만 2788명이 참여했다. 퍼즐 동아리인만큼 PUPLE에는 미궁 게임을 즐기는 부원이 많아 새로운 미궁이 나올 때마다 함께 풀었다고 한다. 그러다 문득 ‘퍼즐 동아리만이 만들 수 있는 미궁을 만들어보면 ... ...
- 코로나19 , 1년 과학이 밝힌 숫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bioRxiv), 메드아카이브(medRxiv) 등에도 코로나19 관련 논문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11월 6일 기준 메드아카이브에 게시된 ‘COVID-19’ ‘SARS-CoV-2’ 관련 논문은 총 8351건이다. ●동물 내 미확인 바이러스 170만 종●인수공통 감염 바이러스, 82만 7000종 코로나19는 동물에게서 인간으로 전염되는 인수공통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융합하거나 분열하는 반응의 목적은 안정해지기 위해서다. 가장 안정한 원소인 철을 기준으로, 원자량 56의 철동위원소(Fe-56)보다 가벼운 원소는 원자핵이 서로 융합할수록 안정해지고, 무거운 원소는 원자핵이 분열하면서 안정해진다. 수소처럼 가벼운 원소의 원자핵을 융합시켜 에너지를 얻으면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등록됐다. 한국인 중 그랜드마스터에 오른 사람은 그를 포함해 단 4명이다( 11월 19일 기준). 알파고 충격의 수혜자“일하는 것 말고 하는 건 운동과 캐글뿐이에요.” 그는 스스로를 ‘캐글 중독자’라 칭했다. 하지만 그가 어렸을 때부터 AI를 공부한 건 아니었다. 그의 대학 전공은 ... ...
- [한페이지 뉴스]"산소는 SELF" 스스로 산소 공급하는 인공조직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따르면 6월 기준 국내 장기이식 대기자 수는 사상 처음으로 4만 명을 넘어섰지만, 기증자는 매년 줄어들고 있다. 망가진 장기를 대체할 인공조직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 이유다. 특히 최근에는 3D 프린터를 이용해 장기의 인공조직을 구현하는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슈라이크 장 미국 하버드대 ...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한라산 구상나무숲 면적이 2015년 626㏊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또 국립공원연구원은 2018년 기준 지리산의 경우, 반야봉 일대 1㎢에 서식하던 구상나무 1만 5000여 그루 중 47%인 6700여 그루가 고사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국립공원연구원은 기후변화가 구상나무가 감소하게 된 원인으로 지목하고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