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선녀가 원하던 선물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다음 망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삭망월’이라고 해요. 그리고 이런 달의 모양 변화를 기준으로 계산한 달력을 ‘음력’이라고 하지요. 달의 모양이 삭일 때가 음력 1일이고, 보름달일 때가 음력 15일이에요. 추석은 음력으로 8월 15일이기 때문에 추석마다 둥근 보름달을 볼 수 있는 거랍니다.그런데 ... ...
- [통합과학 교과서] 운석 나와라,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전문적인 판정을 거쳐야 진정한 운석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요. 2020년 7월 29일 기준으로 국제운석학회에는 6만 3000개가 넘는 운석이 정식으로 등록돼 있답니다. #통합과학 넓히기 지난 달, 지구에 가장 가까운 거리로 다가온 소행성이 있었어요. ‘2020 QG’라는 이름이 붙은 이 소행성은 우리나라 ... ...
- 천문대 이달의 퀴즈·이달의 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매년 추석 날짜가 바뀌는 이유를 알고 있나요? 지금 우리가 쓰는 달력은 태양의 위치를 기준으로 만든 양력이에요. 하지만 추석은 달의 모양을 보고 만든 달력인 음력을 사용하기 때문이지요. 추석은 음력으로 8월 15일로, 내년 음력 8월 15일은 양력 9월 21일이랍니다.추석이 되면 가족과 함께 ... ...
- 장맛비만 54일 역대급 긴 장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여름은 6월 24일부터 54일 동안 장맛비가 세차게 내렸어(중부지방 기준). 역대 긴 장마에 눅눅해진 집안엔 꿉꿉한 냄새가 날 지경이었지! 왜 이렇게 비가 많이, 오랫동안 온 거야? 장마 전선, 오래 머물다! 기상청은 지난 8월 12일 올해 장마가 역대 가장 길고 가장 늦게 끝난 장마로 기록됐다고 ... ...
- 편하면서도 안전한 대피소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이번 장마철 집중호우로 발생한 이재민이 7500여 명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어요(8월 11일 기준). 이재민들은 집을 떠나 주로 학교 체육관이나 경로당에서 생활하는데, 화장실이 부족하거나 좁은 텐트 안에서 지내는 등 시설이 열악한 경우가 많아요. 게다가 한 공간에서 여러 사람들이 밀집되어 지내다 ... ...
- [기획] 봉산을 점령한 대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본 것만큼 많지는 않았어요. 주민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은평구청이 9회 차(7월 27일 기준)에 걸쳐 살충제를 뿌리거나 대벌레를 손으로 잡아 방제작업을 했기 때문이에요. 은평구청은 대벌레 개체 수가 줄어들 때까지 방역을 계속할 예정이에요. 하지만, 국립산림과학원은 방제작업에 대해 고민이 ... ...
- 올여름은 화성 탐사 성수기?! ‘퍼시비어런스’와 친구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전세계인 약 천만 명의 이름을 칩에 저장한 채 7월 30일 출발할 예정이랍니다.(7월 20일 기준) 그런데 NASA만이 아니라 중국과 아랍에미리트도 7월에 화성으로 탐사선을 보낸대요. 이들이 도착할 내년 2월엔 화성이 북적북적하겠죠? ※퍼시비어런스 넌 누구냐! NASA는 2011년 탐사로버 큐리오시티를 ... ...
- 탐사 목표는 생명체 찾기, 목적지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계산해 적절한 곳에서 낙하산을 펴기로 한 거예요. 여기에 지형기준항법(TRN)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더해 낙하산을 달고 내려오던 탐사로버가 지형을 카메라로 찍어 위험한 위치를 자동으로 피하도록 했답니다 ... ...
- [이달의 과학사] 기차 시간표를 맞추려고 탄생했다? ‘그리니치 표준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옛사람들은 사는 곳에 따라 각자의 시간을 썼어요. 대부분 해가 가장 높게 뜬 정오를 기준으로 하여 시간의 기준으로 삼았지요. 지역마다 해가 높게 뜨는 시간이 다르니 ... ‘협정세계시’라는 이름으로 수정되었지만, 여전히 세계 시각은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돌아가고 있답니다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아밀레이스(amylase), 경도(經度, longitude)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위도는 적도를 기준으로 남쪽과 북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가리켜요. 적도를 기준으로 지구를 180등분 한 뒤 남쪽은 남위(0~90°N), 북쪽은 북위(0~90°N)로 나눴어요. 위도에 따라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가 달라, 고위도인 극지방으로 갈수록 추워지는 기후 특징이 있답니다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