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아밀레이스(amylase), 경도(經度, longitude)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위도는 적도를 기준으로 남쪽과 북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가리켜요. 적도를 기준으로 지구를 180등분 한 뒤 남쪽은 남위(0~90°N), 북쪽은 북위(0~90°N)로 나눴어요. 위도에 따라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가 달라, 고위도인 극지방으로 갈수록 추워지는 기후 특징이 있답니다 ... ...
- [시사과학] 페트병, 투명 옷으로 변신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개 포장재*는 접착제 사용유무 등 재활용을 얼마나 쉽게 할 수 있는지에 따라 재활용등급 기준을 평가받아요. ‘재활용 최우수, 우수, 보통, 어려움’ 네 단계로 등급이 분류되죠. 이 등급에 따라 재활용이 어려운 상품을 만든 기업은 범칙금을 받고, 그 돈은 친환경 용기를 만드는 기업체에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깃털, 원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열린 국제 도량형 총회에서 원기가 만들어졌어요. 미터의 기준이 될 막대와 킬로그램의 기준이 될 원기둥을 백금 90%와 이리듐 10%의 합금으로 만든 후 40개를 복제하여 전 세계에 나누어 주었지요.우리나라는 조선 말기인 1894년에 39번 원기를 도입했어요. 이 39번 원기는 해방 후 서울의 한국은행 ... ...
- [기획] 1장. 초정밀 ‘키블 저울’ 찾아 지하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 진공 챔버에 들어가기 전키블 저울의 모습. 실험할 때에는 금속으로 만든 저울을 진공 챔버에 넣고 뚜껑을 닫아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든다. 6월, 무척 더운 날이 ... 되는 금속 기구. 1kg은 130년 간 킬로그램 원기의 질량으로 정의되다가, 지난 해 플랑크 상수를 기준으로 재정의되었다 ... ...
- [기획] 3장. 더 정확한 1kg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측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거든요. 올해 처음으로 국제 비교가 시작된 이유도 새 킬로그램 기준에 부합하는 정밀한 저울을 만들기 위해서지요. 국제 비교의 목표에 도달하는 정밀도를 가진 키블 저울은 킬로그램 단위의 새 표준이 된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_인터뷰김명현 ... ...
- 33살 GIF, 인싸와 궁합이 쿵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미지일까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종열 시각지능연구소장은 “둘을 나누는 명확한 기준은 없지만, 컴퓨터과학자의 관점에서 GIF는 이미지”라고 말했어요. 이는 GIF가 동영상 압축 기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에요. 개별 이미지들을 한 파일에 저장해 플립북처럼 차례로 보여줄 뿐이거든요 ... ...
- [쇼킹 사이언스] 에베레스트산 높이가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도착했어요. 그리고 28일, 대원들은 세 번의 시도 끝에 정상에 도착해 기준점을 세웠지요. 기준점과 배이스캠프, 중간 등반지점 곳곳과의 거리를 측량하기 위해서예요. 이때 측량팀은 지상에 있는 물체의 위치와 높이, 속도에 대한 정보를 보내주는 ‘전 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GNSS)’과 독자적으로 ... ...
-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이달의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태양을 모두 가리는 개기일식이 아니라 일부분만 가리는 부분일식이지요. 서울을 기준으로 오후 3시 53분에 해를 가리기 시작해서 오후 5시 2분에 최대로 가려져요. 그러다 오후 6시 4분에 끝나지요. 지구촌 일부 지역에서는 태양의 가장자리만 보이는 금환일식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이번에 뜨는 달의 ... ...
- 과학동아가 파헤친다, 2021 수능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진짜 겨울에 수능을 치르니 ‘수능 한파’는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2019년 서울 기준 11월 평균 기온은 7.58℃, 12월 평균 기온은 1.41℃로 약 6℃가량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강재헌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기온 차이가 있더라도 수험생들이 시험을 보는 실내 온도가 달라지지는 않기 ... ...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사용하기 위해 좌표 정보가 기록돼 있다. 촬영한 사진에 나타난 지상기준점과 실제 지상기준점의 모습을 비교하면 사진이 촬영된 각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광속조정법(Bundle Adjustment)’이라고 한다. 모든 사진의 촬영 각도를 알아내면 남은 건 사진에 촬영된 물체와의 거리를 계산하는 일이다.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