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는 여전히 출산 중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해상도가 크게 향상되고 시야가 많이 넓어져서 더욱 선명한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됐다.
바로
이 관측 장비를 사용해서 ‘I 쯔비키 18’을 무려 19시간 동안 노출하면서 관측을 수행해 자료를 얻었다. 지금까지 얻은 관측 자료 중 가장 정확하고 질 좋은 자료임은 물론이다. 그 결과 지금까지 볼 수 ... ...
6년만에 일어나는 1등성 성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안타레스는 달의 밝은 쪽에서 잠입해 어두운 쪽에서 나타난다.맨눈으로도 밝은 별이 달
바로
옆에 바짝 붙어 있는 장관을 즐기기에 그리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물론 쌍안경이 있다면 최고의 장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이라이트는 안타레스의 출현 시점이다. 어두운 달 표면 뒤편에서 갑자기 ... ...
화상전화기 vs 음성전화기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이미 30여년 전 AT&T는 통신사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실패를 기록한 적이 있었다.
바로
화상전화기였다.1964년 뉴욕 세계박람회장 AT&T 전시관 앞은 사람들로 장사진을 이뤘다. 관람객들이 AT&T 벨연구소가 내놓은 새로운 발명품인 화상전화기를 직접 시험하려고 모여들었던 것이다. 화상전화기는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내핵이 ‘철 덩어리’라면 외핵은 ‘철물’로 비유할 수 있다.지자기가 만들어지는 것은
바로
이런 외핵의 유체운동 때문이다. 유체운동에 의해 전류가 만들어지고, 이 전류의 흐름으로 자기장이 생긴다. 이것이 1950년 제안된 ‘다이나모 이론’이다.초기에 과학자들은 지구 중심에 막대자석과 같은 ... ...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서서히 증발한다. 이때 물에 녹아있던 소금기가 함께 위로 올라와 지표면에 모인다. 이는
바로
사막화의 원인이 된다. 지표면에 소금기가 집적돼 있으면 염분에 약한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닐하우스에서는 음식물쓰레기로 만든 퇴비를 사용하지 않도록 권유하고 있다. ... ...
식물에도 눈동자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경우 활성 상태로 바뀐 후에도 말단 인산기가 붙어있으면 빛을 전달하고 나서 곧
바로
파괴되고 만다.연구팀은 PAPP5가 피토크롬의 말단 인산기도 떼어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말단 인산기가 떨어져나간 활성 피토크롬A는 안정화돼 수명이 길어져 빛을 전달하는 역할을 좀더 오래 할 수 있게 된다 ... ...
파리에 가다, 과학에 취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곳은 역시 모나리자야. 얼마나 사람이 많이 몰렸으면 한 줄로 들어갔다 그림을 본 뒤
바로
나와야 했다니까.이사벨이라고 하는 박물관 가이드 언니가 그러더라고. 다 빈치가 유명한 것은 빛을 미술에 절묘하게 이용했기 때문이래. 다 빈치의 그림을 보면 사람에 빛을 비추고 그 효과를 절묘하게 ... ...
4. 디자인은 배려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있게 만드는 것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이런 추세를 반영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것이
바로
‘UI 디자인’이다. 유니버설 디자인이라고도 불리는 새로운 경향은 오른손잡이나 기성세대로 불리는 주류에 대항한 개념이라기보다 ‘모두를 위한 디자인’을 컨셉으로 한다.마츠시타의 샤워기도 ... ...
진퇴양난 새만금 사태 묘수는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하구둑은 연안어업을 파멸시킨 또 하나의 중요한 이유다.하구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바로
하구를 통한 영양염의 배출이다. 영양염은 육지에서는 오염물이지만 바다로 흘러 들어가면 연안어장을 살찌우는 먹이가 된다. 또 육지에서 공급되는 토사가 하구를 통해 연안에 공급되면 갯벌, 해빈, 사구, ... ...
의학과 지질학의 만남, 메디컬 지질학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이처럼 미량의 원소가 생물의 건강이나 생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분야가
바로
‘메디컬 지질학’이다. 마르코 폴로의 이 체험담은 메디컬 지질학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인 셈이다.메디컬 지질학(Medical Geology) 또는 지질메디컬 과학(Geomedical Science)은 인간과 동식물의 건강과 ... ...
이전
773
774
775
776
777
778
779
780
7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