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2. 공장에서 진화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수 있다.그러므로 고등생물에서는 점돌연변이보다 좀더 효율적인 진화방식이 필요하다.
바로
‘성’(sex)이다. 고등생물은 암수의 결합을 통해 DNA 염기배열을 서로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유전자풀을 만들어내는 것이다.실제로 자연계에서 염기배열 변화는 자외선 방사선 열 같은 물리적 요인, 각종 ... ...
세계 과학자 850명 이끄는 물리학자 - 시카고대 김영기 교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넘긴 채 물리학과의 달콤한 사랑에 빠져있었다. 그러나 김 교수에게 인연을 찾아준 것도
바로
물리학이었다. 그녀는 3년 전 시카고대의 동료 물리학자인 시드니 네글 교수와 100년 가약을 맺었다.이번 방한을 계기로 김 교수는 국내 과학계에 더 많은 관심을 갖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과학에 대한 ... ...
남극 하늘에 풍선 띄워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등이 있었다.과학센터의 한 구석에 사람들이 서넛 앉으면 적당할 정도의 자그마한 방이
바로
우리 팀을 위해 마련된 사무실이었다. 우리가 실제 실험을 하는 장소는 윌리엄 필드(William Field)로 불리는 곳에 있다. 그곳은 기지에서 차를 타고 약 20여분이 걸린다. 셔틀 버스로는 1시간이 걸린다.내가 ... ...
수정란에서 신경세포가 탄생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수 있을까. 아직은 동물실험 단계에 불과하지만, 척수를 인위적으로 손상시킨 후 곧
바로
줄기세포를 이식하면 척수신경을 재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불가능한 것으로만 여겨졌던 뇌나 척수의 재생이 멀지 않은 장래에 가능하게 될 것이다. 아직도 넘어야 할 산이 높고 험하지만, ... ...
새해에는 닭처럼 일찍 일어나 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병아리가 되는 것은아니랍니다. 노른자위를 보면 하얀 점 같은 것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배아’라는 부분이에요. 이 배아가 자라서 병아리가 되지요. 노른자위는 병아리가 자라는 데 필요한 영양분이 되고, 흰자위는 병아리를 보호하면서 영양분을 공급해 준답니다. 부지런쟁이 닭아침이 되면 ... ...
여자는 남자의 침묵에 끌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영업사원은 ‘무엇을 원하십니까’라고 묻고 나서 고객의 말을 듣는다”면서 “이것이
바로
감정을 읽어내는 복잡미묘한 기술이다. 여성에게 인상을 남기려는 남성은 말을 적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 ...
새들에게 세상의 경계는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도대체 어떻게 찍은 거야?”화면에는 이런 의문이 들게 하는 장면이 계속된다. 카메라
바로
옆에서 새가 날고 있기 때문이다. 종종 카메라 앵글이 아래로 비스듬히 향할 때면 날갯짓하는 새의 배경이 하늘이 아니라 육지가 되기도 한다. 이런 화면이 가능한 것은 실제로 촬영자가 철새들과 나란히 ... ...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출원됐고, 나나 베쏘는 그런 특허를 심사했었다. 가령 베른역의 시계가 1시를 가리키는
바로
그 순간에 취리히역의 시계도 1시를 가리키는지 베른역에서는 도저히 알 수가 없었다. 이를 확인하려면 베른역의 시계가 1시를 가리키는 순간 취리히역으로 빛 신호를 보내고, 잠시 후에 신호를 받은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연료도 무한하지만 1억℃의 높은 온도가 필요해 아직 상용화하지 못하고 있다. 태양이
바로
자연에 존재하는 핵융합 발전소다. 만일 핵융합 발전이 성공하면 아인슈타인의 영향력은 아인슈타인의 영향력은 인류가 문명을 마치는 그날까지 계속될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상대성이론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프린스턴에서 한적한 말년을 보내던 아인슈타인의 삶에 끼어든 사람이 있으니
바로
수학자이자 논리학자인 쿠르트 괴델이다.두사람이 안면을 익히게 된 것은 1933년 아인슈타인이 프린스턴에 정착하면서부터였다. 하지만 본격적인 교분은 1942년에서야 시작됐다.오스발트 페블렌과 파울 ... ...
이전
777
778
779
780
781
782
783
784
7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