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행복이가 불만스러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셋이서 케이크를 나눠 먹는 방법은 1960
년
대 미국의 수학자 존 셀프리지와 영국의 수학자 존 콘웨이가 비슷한 시기에 독자적으로 발견한 방법이 있습니다. 흔히 ‘셀프리지-콘웨이 방법’이라고 부르는데, 케이크를 최대 6조각으로 나누고 칼질은 최대 5번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개정하면서 중등학교 6
년
동안 단계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바꿨다. 우리나라처럼 학
년
이 올라갈수록 수학 개념을 넓고 깊게 배우는 ‘나선형 구조’로 교육과정을 개편한 것이다.나선형 구조는 많은 선진국에서 채택하고 있다. 대부분의 단원을 한 번 배우면 다시 배우지 않았던 것을 생각하면 큰 ... ...
[소프트웨어] π를 부탁해!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18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피에르 자르투가 원주율의 첫 세 숫자를 따서 만들었어요. 1987
년
물리학자 래리 쇼가 미국 샌프란시스코 과학관에서 π-데이 행사를 시작하면서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됐어요.7월 22일은 ‘π 근삿값의 날’이에요. π와 가장 가까운 분수가 22/7=약 3.1428571429이거든요. 이처럼 ... ...
[수학동아클리닉] 오목으로 익히는 순서쌍과 좌표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활동을 의외로 어려워한다. 중학교 1학
년
때 공부했어도, 1
년
이 지나 중학교 2학
년
일차함수 수업을 할때 순서쌍을 좌표평면 위에 찍도록 시켜보면 쉽게 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다. 이 활동은 어떻게 하면 순서쌍을 좌표평면 위의 점에 대응시키는 연습을 꾸준히 하게 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 ...
[과학뉴스] 식물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Plant Biotechnology Journal)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함유된 황금 쌀이다. 이 연구는 당시 저널의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 2013
년
에는 현미에 암과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성분이 백미에 비해 3배 이상 많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올해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아세톤을 만드는 박테리아를 발표했다 ... ...
[포커스 뉴스] DNA에 새겨진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비극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편향돼 있었다”고 주장했다. 대이동은 남북전쟁이 끝나고 노예제가 폐지된 이후 1915
년
부터 1970
년
사이에 600만 명에 달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미국 북부와 서부로 이주한 현상이다. 이들은 더 나은 삶을 위해 인종 차별이 극심한 미국 남부를 떠났다. 연구팀은 이 때 유럽계 유전자 비율이 높은 ... ...
Intro. 장내미생물이 제2의 게놈?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건강기능식품보다 인기가 많다. 원래부터 잘 나갔던 건 아니었다. 데뷔 초인 1500만
년
전, 유인원의 공통조상이 인간으로 분화될 때 함께 분화해 본격적인 공생을 시작했던 사실도 최근에야 알려졌으니 말이다(1파트).긴 무명생활을 청산한 건 ‘유산균’ 덕분이었다. 19세기 러시아의 생물학자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잭슨의 노래가 장속 깊숙한 곳으로부터 들려오는 듯하다!).장내미생물이 최소 1500만
년
전부터 쭉 인간과 동거해왔다는 사실을 밝힌 것도 이번 연구의 큰 소득이다. 불필요한 장내미생물이 이토록 오랜, 배타적인 공생관계를 유지할 필요는 없었을 터다. 아직 다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장내미생물이 ... ...
[Knowledge] 패배는 있어도 패배자는 없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우수한 종은 계속 우수하다는 것이다. 이를 ‘평행설 이론’이라고 한다. 그런데 1980
년
대에 들어서면서 이 생각에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그 지역에서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했던 경쟁력 약한 종이 개체수만 줄어들 뿐 멸종되지는 않은 것이다. 그 이유는 식물의 적응력에 있었다.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3억7500만
년
전에 살다 멸종한 물고기로, 3억8500만
년
전 지층에서 나오는 어류와 3억6500만
년
전 지층에서 나오는 원시 양서류를 연결해 줄 절호의 시기에 살았다. 신체 특성도 두 종의 중간이었다. 연골로 된 네 다리가 뚜렷했다. 위팔뼈 하나와, 노뼈와 자뼈 두 개로 이뤄진 아래팔뼈, 그리고 ... ...
이전
759
760
761
762
763
764
765
766
7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