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Editor’s Note] 사소한 감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소설가들을 조심해야 한다. 그들이 하는 어떤 말은 나중에 사실이 되기도 하니까.10여 년 뒤. 사람들은 유산균으로 대표되는 장내미생물의 기능에 집착하고 있다. 장내미생물은 과학 뉴스의 단골 소재가 됐다. 뉴스 속 장내미생물은 못하는 게 없다. 비만도 치료하고 우울증도 고치며 면역에까지 ... ...
- [과학뉴스] 동물이 옮긴다고? 사람한테 옮았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사바나원숭이의 포도상구균과 인간 포도상구균의 유전자를 비교했다. 그 결과 2700년 전 두 포도상구균의 유전자는 같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또한 사바나원숭이의 포도상구균에는 인간의 몸속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유전자가 결여돼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는 포도상구균이 ... ...
- [과학뉴스] ‘그린란드상어’ 400년 장수 비결은?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대사활동이 느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린란드상어는 최대 7m까지 자랄 수 있지만, 1년에 몇 cm밖에 성장하지 못할 정도로 성장이 더디다. 또 북극해의 차가운 바다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대사활동도 활발하지 않다. 즉 다른 척추동물에 비해 아주 적은 에너지로 생활한다. 연구팀은 ... ...
- [과학뉴스] 제5의 힘, 존재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입자가 있다고 ‘피지컬 리뷰 레터’ 8월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밝힌 입자는 1년 전 헝가리 실험물리학자들이 발견한 입자다. 당초 이들은 암흑물질을 찾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는데, 암흑물질이 아닌 전자보다 약 30배 무거운 입자의 흔적을 포착했다. 하지만 이 입자가 어떤 성격을 가진 ... ...
- [News & Issue] 얼굴 전체로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자물쇠처럼 짝이 맞으면 뇌로 신호를 보내 냄새를 인지한다는 후각 메커니즘을 밝혀 2004년 노벨상을 받았다. 후각수용체 유전자 하나가 화학물질 하나를 담당한다. 인간의 경우,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후각수용체 유전자의 수는 약 400개다.물성딱딱한 초콜릿이 입안에서 사르르 녹을 때단단한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건 독도만의 매력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요.” 독도 조사팀은 해양수산부 연구사업으로 1년에 2~3번씩 10년 넘게 독도를 연구해 왔다. 그 덕에 독도의 3차원 지형도가 완성됐고, 탄소연대를 측정해서 독도의 형성 과정을 조사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송 책임연구원은 아직 독도에 대해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취약하다는 통계 기반 연구들이 많다.그런데 이것을 실험을 통해 증명한다고 해보자. 수 년 동안의 항생제 섭취, 식이뿐만 아니라 생활환경, 유전등의 요소까지 모두 고려해야 한다. 천 교수는 “실제로 아토피나 당뇨 같은 질병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장내미생물은 여러 가지 요인 중 하나일 뿐, ... ...
- [News & Issue] 허수의 실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찾을 수도 있게 됐다.시간이 흘러 이탈리아 볼로냐대의 수학자 스키피오네 델 페로는 1526년 임종을 앞두고 제자인 피오레에게 한 가지 고백을 한다. 사실 자신이 x3+px=q 형태의 3차 방정식의 일반해를 찾았고, 그것을 너에게만 알려주겠노라고 말이다. 피오레는 스승의 비기를 품고 또 다른 이탈리아의 ... ...
- 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작업이 끝나면 터널의 매무새를 갖추는 보강 작업에 들어간다. 작업이 마무리되는 2020년에는 대천항과 원산도를 5분만에 횡단할 수 있다. 지금은 배로 40분 걸리는 거리다. 이 감리반장은 “보령해저터널의 건설은 자연이 만들어놓은 지형을 인간의 힘으로 극복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수 있다”고 말했다. 터널도 건축물이기 때문에 수명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수백 년 정도로 길다. 때문에 터널을 철거한 사례는 아직 없다.노선이 바뀌어 용도가 사라진 폐 터널은 터널의 특징을 살려 다른 목적으로 이용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폐 터널 92개 중 16곳이 재활용되고 있다(2015년 ... ...
이전7627637647657667677687697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