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지구가 또다시 흔들! 2016 대지진 긴급 분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016년 4월 중순, 일본 큐슈 구마모토에서 대지진이 발생했어요. M7.0 정도의 어마어마한 강진이 14일과 16일, 두 번에 걸쳐 연속으로 일어났답니다. 그 후 700회 넘는 여진까지 계속 발생했지요. 구마모토 주민들은 지금도 공포에 떨며 불안정한 대피 생활을 계속하고 있어요.게다가 세계 곳곳에서 비슷한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성능에 따라서도 코드의 종류가 달라지고요.가장 많이 쓰는 코드는 ‘C언어’예요. 1972년 미국의 벨 연구소에서 일하던 데니스 리치가 개발했는데, 처음 개발된 B언어를 개선해 만들었기 때문에 C라는 이름이 붙었답니다. C언어는 여러 명이 한꺼번에 접속해서 일을 할 수 있는 ‘유닉스’ 시스템을 ... ...
- [수학뉴스] 한 살 공간 감각, 여든 간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기술을 이용해 아이들이 얼마나 오랫동안 화면을 보고있는지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4년 뒤 실험에 참가했던 아이 중 53명을 대상으로 수학 문제를 풀게 했습니다.그 결과 첫 실험에서 화면을 오랫동안 봤던 아이가 수학 문제를 풀 때 더 강한 자신감을 보였습니다.로렌코 박사는 “오랜 시간에 걸쳐 ... ...
- [수학뉴스] 걷는 테이블이 있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개발했습니다. 그는 사람이나 동물처럼 자연스럽게 걷는 테이블을 만들고 싶었고, 1년의 노력 끝에 세계 최초로 걷는 테이블을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지금은 10일 정도면 테이블을 만들 수 있어 판매도 하고 있습니다.그는 러시아의 수학자 파프누티 르보비치 체비쇼프의 네 다리로 걷는 기계에서 ... ...
- [지식] 들어는 봤나?! 수학특성화중학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기숙사 벽을 부수게 된다. 그런데 벽돌과 벽 사이에 작은 상자가 끼어 있는 게 아닌가! 10년 정도는 묵은 것 같은 상자 안에는 수학노트와 카드, 초코바, 구식 USB가 들어있었다. 정혜연은 누구이며, 이 구식 USB는 무엇이란 말인가. 노을은 호기심에 USB 속 프로그램을 설치한다.“딩동. 안녕, 노을 ... ...
- 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온도가 어디서나 똑같다는 사실은 빅뱅 이론만으로 설명할 수가 없었다. 이는 1980년에 앨런 구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 교수가 발표한 ‘급팽창 이론’으로 해결됐다.구스 교수는 우주가 태어난 직후 아주 짧은 시간 동안 급격한 팽창을 겪었다는 아이디어를 냈다. 균일했던 초기우주가 순식간에 ... ...
- [소프트웨어] 나 잡아봐라! 두더지 잡기 앱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안에 두더지를 잡아 점수를 내는 두더지 잡기 게임을 만들어 봐요!오늘의 미션1980~1990년대에는 문방구나 야구 연습장 옆에서 두더지 게임을 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사람을 약 올리듯이 재빨리 움직이는 두더지를 하도 때려서 기계가 망가지는 일도 있었지요. 앱인벤터로 만든 두더지 ... ...
- [소프트웨어] 레고를 빌려드립니다! 레츠고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주)오렌지가든이 2014년 12월부터 운영하는 ‘레츠고’는 저렴한 가격에 레고를 빌려주는 서비스다. 고객이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원하는 레고 제품을 고르면 전용 상자에 넣어 택배로 보내준다.최대 3주 동안 빌릴 수 있는데, 비용은 레고를 담았던 레츠고 배달 전용 상자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 ...
- [과학뉴스] 햇볕으로 물 끓이려면 뽁뽁이가 필수!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최근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공학과 강첸 교수팀은 물을 수증기로 바꾸는 간단한 장치를 새로 개발해 학술지 ‘네이처 에너지’ 온라인판 8월 22일자에 발표했다.연구 ... 렌즈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장치는 제작비가 저렴한데다, 한 번 설치하면 1~2년 동안 쓸 수 있다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만난 홍채인식 기술영국 캠브리지대 존 더그먼 교수는 2001년, 사진에 찍힌 홍채만으로 중년이 된 아프간 소녀를 찾아냈다. 홍채인식 기술이 그만큼 역사가 깊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널리 적용되지 못한 데는 크기와 비용 문제가 있었다. 홍채인식 기술은 모두 홍채의 주름 패턴을 ... ...
이전7567577587597607617627637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