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d라이브러리
"
은하
"(으)로 총 1,02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03
우주의 진화에 대해 중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허블심우주관측팀의 R. 윌리엄즈는 "이들
은하
가운데 몇개는 빅뱅이 일어난지 10억년 후에 생겨난 것"이라고 말한다. 히야쿠타케혜성 출현_쌍안경으로 발견, 3월 25일 지구 접근, 맨눈 관측 가능국제천문연맹(IAUC)은 1월 31일 새로운 혜성이 나타났다고 ... ...
3. 일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02
X선원인 LMC X-1과 LMC X-3를 추적하고 있다. 대마젤란
은하
는 우리
은하
를 공전하는 위성
은하
이기 때문에 거리가 약 16만 광년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서 비교적 수월하게 추적되고 있다. SMC(소마젤란
은하
) X-1 또한 블랙홀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다 ... ...
미지의 친구를 기다리는 인간들의 사모곡
과학동아
l
199601
우리와 통신할 확률을 계산했다. 그의 계산에 따르면 1천억개의 별이 모여있는 우리
은하
에 약 10개 정도는 문명세계를 만들어 살아갈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확률은 너무나 작은 것이어서 어쩌면 우리의 존재만으로 만족해야할지 모른다.최근 세계적인 천체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은 일본에서 ... ...
우주 수수께끼 아기별의 탄생
과학동아
l
199601
그 반대편으로 꼬리를 드리우고 있다.M15에 블랙홀이 있을까구상성단인 M15는 우리
은하
에서 별들이 가장 밀집한 성단이라고 한다. 그 중심부에는 대략 3만개의 별들이 모여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M15의 중심부를 촬영한 까닭은 이곳에서 성단핵이 수축하는 현상(core collapse)이나 블랙홀에 관한 증거를 ... ...
황소자리의 일곱 자매
과학동아
l
199512
별이 드문드문 모인 '히아데스'(Hyades) 성단이 있다. 플레이아데스와 히아데스는 우리
은하
의 나선팔에 있는 산개성단으로 거의 동시에 태어난 별들로 이뤄졌다.황소자리에는 또하나의 유명한 천체가 숨어 있다. 그것은 메시에 목록에 첫번째로 기록된 M1, 바로 게성운이다. 게성운은 1054년에 폭발한 ... ...
허블통신 크리스마스 특선
과학동아
l
199512
중력렌즈의 존재는 분광관측을 이용해서 확인하는 것이 통례다. 하지만 이 경우 타원
은하
를 둘러 싼 4중렌즈가 너무나 또렷하기 때문에 그 존재를 의심할 여지가 없었다.여태까지 지상 관측시설들이 가깝고 밝은 몇몇 중력렌즈에 대해서만 관측을 수행했다. 그러나 허블우주망원경은 어둡고 멀리 ... ...
초신성폭발의 장엄한 피날레
과학동아
l
199511
별탄생률은 Sa형
은하
를 대표하며, 그 반대 경향을 나타낼수록 Sd
은하
에 가깝다. 나선
은하
는 또한 Sd-Sc-Sb-Sa-SO의 순서에 따라 회전속도가 증가하는 반면, 별 형성에 필요한 가스의 양은 작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11월의 밤하늘 페르세우스자리의 보석들
과학동아
l
199511
별'과 h-χ가 숨어 있다. 글쎄, 여러분의 상상은 이미 태양계를 떠나 나선팔 위에서 장엄한
은하
의 모습을 내려다 보고 있을지도 모르겠다.이달의 천문현상17일 사자자리 유성우 극대. 이 유성우는 11월 14일부터 20일 사이에 나타나며 시간당 평균 출현 수는 10-15개. 사자자리 유성우의 활동은 33년마다 ... ...
태초 우주 비밀 밝힐 원시헬륨 발견
과학동아
l
199511
별에 의한 오염이 없는
은하
밖에서 헬륨을 찾으면 된다. 이런 점에서 데이빗센 박사가
은하
들 밖에서 헬륨 기체를 찾아낸 일은 대폭발이론을 입증하기 위해 마땅히 꿰어야 할 하나의 빈 고리를 발견해낸 업적으로 평가된다 ... ...
별탄생의 요람 전파
은하
추적
과학동아
l
199510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에서 빛을 내는 부분은 별 탄생 영역 및 작은 위성
은하
들, 그리고
은하
핵에 있는 블랙홀에서 분출되는 제트에 의한 바우 충격(bow shock)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최초로 모습 드러낸 M4 백색왜성M4는 가장 가까운 구상성단이며 지구에서 약 7천광년 떨어져 있다. 이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