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은하"(으)로 총 1,0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과학동아 l199802
- 계속 지구로부터 멀어질 것이다. 이때는 우주가 계속 팽창한다.그렇다면 안드로메다은하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 중 어느 쪽의 크기가 더 클까. 그것은 우주의 밀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우주의 밀도가 어느 한도보다 크다면 위치에너지의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앞으로 언젠가는 다시 ... ...
- 1. 시간의 시작과 끝과학동아 l199802
- 2백70℃의 마이크로파가 됐다. 초기에 밀도가 높았던 지역은 점점 자라서 후에 은하와 은하단이 됐다.우주의 과거를 설명하는 위와 같은 이론을 ‘뜨거운 대폭발(Hot Big Bang) 우주 모형’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오늘날 우주의 표준모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태양계 종말 시나리오우주의 미래는 ... ...
- 외계인과학동아 l199802
- 전혀 생소하지만은 않으리라.저 바깥 어디에선가는 우리의 문명을 예의 주시하고 있는 은하 연방 소속의 외계인들이 잔뜩 모여 있을지 모른다.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자멸의 위기를 슬기롭게 넘기는지 관찰하면서 ... ...
- 코뿔소가 변한 외뿔소 자리과학동아 l199802
- 내내 서쪽 하늘 물고기자리를 남북으로 가로질러 움직인다. 1월 31일과 2월 1일에 나선은하 M33 서쪽 2.5°정도로 가까이 통과한다. 이후 달빛이 밝아 보기가 어려워 13일 이후에는 천체 망원경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이 혜성은 1366년 10월 25일에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에서 출현한 기록이 남아있는데, ... ...
- 1. 우주정거장의 어제와 오늘과학동아 l199712
- 활동한다. 과학자들은 크반트 1호에 장착된 전자기장분광기와 X선방출검출기를 이용해 은하, 퀘이사, 중성자별 등과 같은 천체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미르의 역할은 미국과의 국제우주협력 프로그램인 미르-우주왕복선 계획을 통해서도 잘 나타난다. 미르는 1995년 6월 미국의 우주왕복선 ... ...
- 외계생명체가 전하는 희망의 메시지- 콘택트과학동아 l199712
- 필립 모리슨과 주세페 코코니는 어느 정도 지능을 가진 존재라면, 성간 전파 신호를 통해 은하 전체와 교신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성간 전파 신호는 큰 비용을 들이지 않더라도 보낼 수 있으며, 비교적 초보적인 기술을 통해서도 가능하기 때문에, 외계인이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자 한다면 그 ... ...
- 외계인의 습격과학동아 l199709
- ”논쟁은 계속되었다. 외계인은 막무가내였다. 그들은 자신들이 타고 온 우주선들이 전 은하계 종족들이 지구인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만든 거라고 말했다. 그리고 여차하면 지구 자체를 없애버리겠다고 경고했다. 지구인들은 외계인들이 왜 그런 오해를 했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그때 한국 ... ...
- 전자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199709
- 때 원자도 생성되었고, 항성과 행성들이 태어났다. 존재하는 모든 것, 공간, 시간, 항성, 은하, 그리고 우리들까지도 빅뱅 당시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 것이다. 빅뱅이론을 알려면 NASA(http://map.gsfc.nasa.gov/html/big_bang.html)를 찾아보는 것이 좋다.고체에서의 전자전자공학에서는 반도체라 불리는 특별한 . ...
- 여름밤 은하수 위를 훨훨 나는 독수리과학동아 l199708
- 찌그러져 있다. 견우별의 적도 반지름은 극 반지름보다 2배 이상 크다.독수리자리는 우리은하의 나선팔에 놓여있어 새로운 별(신성)이 종종 나타나는 곳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389년 금성만큼 밝은 별이 견우별 근처에 나타난 바 있고, 1918년 6월 8일 밤에는 람다(λ)별 북서쪽에 견우별보다 밝은 별이 ... ...
- 은하계 중심 사수자리과학동아 l199706
- M24는 맨눈으로도 보이는 별구름으로 오메가성운으로부터 2도 정도 떨어져 있는 남쪽 은하수의 밝은 지역이다. 이 큰 별구름의 겉보기 쿠기는 2도×1도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별구름 속에는 산개성단 NGC6603, 코구멍같이 생긴 암흑성운 B93과 B92가 있다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