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3,91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 3D 프린팅 가능한 첨단금속 복합재용 고부가가치 분말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6.14
연구팀은 광전극으로 활용되던 산화철 광전극
표면
에 유기반도체를 코팅했다. 코팅된
표면
에 다시 한번 촉매를 코팅시켜 유기반도체가 물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했다 ... ...
비만·당뇨 예방하는 '갈색지방' 기능 저하되는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12
시-키트(c-Kit) 수용체와 결합해 지방축적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시-키트는 세포
표면
에서 발견되는 티로신 키나아제 수용체 단백질로 줄기세포성장인자와 결합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또 단일핵 RNA 시퀀싱 기법으로 갈색지방 내 갈색지방세포, 혈관내피세포 및 주변세포를 각각 ... ...
인류 최초 달 뒷면 탐사…중국 착륙선의 '눈과 팔' 만든 홍콩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3.06.09
6일 카이릉 융 홍콩이공대(PolyU) 교수가 취재진과 만나 그가 소장을 맡고 있는 심우주탐사연구센터(RCDSE)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홍콩이공대 제공 ... 고 말했다. 소련의 루나24호에 이어 46년만에 달 표토 채취에 성공한 창어 5호의
표면
토양 채취 및 포장시스템(SSPS) 모형. 홍콩이공대(PolyU) ... ...
혈전 생겨도 안막히는 인공혈관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08
통해 혈전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실험 결과 기존 인공혈관 소재에 혈액을 흘리면
표면
에 잔여물과 혈전이 남는 반면 이번에 개발된 소재는 잔여물과 혈전을 전혀 남기지 않고 굴러 떨어졌다. 쥐를 사용한 실험에선 이 인공혈관이 효과적으로 혈관과 결합되는 것이 확인됐다. 삽입된 부위에서 ... ...
연료 아낀 달 궤도선 다누리, 2025년까지 2년 더 임무 수행 전망
동아사이언스
l
2023.06.07
달 상공 344km에서 달
표면
과 지구를 촬영했다. 항우연 제공 올해 2월 달 궤도에 도착해 관측 임무를 하고 있는 한국 첫 달궤도선 ‘다누리’의 임무 수명이 기존 1년에서 2년 더 늘어날 전망이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7일 세종 과기정통부 청사에서 진행한 간담회에서 6월 내에 달 ... ...
리튬전지보다 저렴한 마그네슘전지 상용화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6.04
금속
표면
에 인공 보호막을 합성했다. 여기에 특정 반응 용매를 선택하면 마그네슘
표면
에 나노구조가 함께 형성돼 마그네슘 충방전이 촉진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전해질과의 의도치 않은 반응을 억제하고 나노구조화를 통해 반응 면적을 극대화, 충방전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 ...
'뇌 주름 모양'이 뇌 성능에 큰 영향 미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01
크게 두 가지가 있다. 뇌의 주름과 뇌 내 신경세포의 구성이다. 앞서 학계에서는 뇌
표면
의 모양보다 뇌 속 신경세포들의 연결된 형태인 ‘커넥톰’이 뇌 기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했다. 연구팀은 뇌 겉면의 주름이 뇌 내 신경세포의 구성 못지않게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 ...
"치매 예고 새로운 혈중 생물지표 발견"
연합뉴스
l
2023.05.31
가 30일 보도했다. 알츠하이머 치매는 신경세포와 신경세포 사이 공간에 있는
표면
단백질인 베타 아밀로이드와 신경세포 안에 있는 타우 단백질이 잘못 접혀 응집되거나 엉키면서 신경세포를 죽이는 독성 단백질로 변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상세포는 뇌의 신경세포를 돕는 별 ... ...
"당뇨병 발병 나이 빠를수록 치매 위험↑"
연합뉴스
l
2023.05.30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츠하이머 치매는 신경세포와 신경세포 사이 공간에 있는
표면
단백질인 베타 아밀로이드와 신경세포 안에 있는 타우 단백질이 잘못 접혀 응집되거나 엉키면서 신경세포를 죽이는 독성 단백질로 변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유럽 당뇨병 연구협회 ... ...
일본 민간기업 달 착륙선 실패 원인은 '고도 측정 오류'
동아사이언스
l
2023.05.29
아이스페이스는 달의 평평한 지형인 ‘꿈의 호수’를 착륙 지점으로 선택했지만 이후 달
표면
에 형성된 폭 80km 정도의 충돌 크레이터인 ‘아틀라스’를 목적지로 변경했다. 평원이 아닌 분화구 지형에 착륙하게 되면서 고도 측정 소프트웨어가 고도의 변화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