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가 제일 잘나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약 1.5kg, 약 860억 개의 뉴런(신경세포)으로 이뤄진 기관.인간의 뇌다. 인간 뇌의 가장 큰 특징은 고도화된 지능이다.지능은 뇌의 어느 부위에서 관장하는 것일까. 지능은 태어날 때부터 결정되는 것일까, 아니면 자라면서 바뀌는 것일까. 공부를 잘하면 지능도 높은 것일까.아니, 그것보다 지능은 ... ...
-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준다. 가령 고래나 코끼리의 대뇌 피질 뉴런의 수는 인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많지만, 세포의 활성과 반응 속도, 연결복잡도에서는 인간이 월등히 높다.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마음 이론(theory of mind)이나 언어와 문자를 동시에 보유한 특징은 다른 어떤 동물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여기서 마음 ... ...
- [과학뉴스] 손톱만 한 3D 인공심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이전 기술에서 한 걸음 나아갔죠. 새롭게 선보인 인공심장은 환자의 몸에서 떼어낸 세포 이용해 만들어졌으며, 엄지손톱만 한 크기예요. 연구를 이끈 탈 드비르 교수는 “앞으로 사람에게 이식할 수 있는 인공심장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답니다 ... ...
- [통합과학교과서] 토끼의 고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눈을 통해 많은 양의 빛이 들어오면 시신경을 통해 그 정보를 받아들여요. 그럼 신경 세포가 이 정보를 뇌의 한 부분인 솔방울샘으로 전달하지요. 솔방울샘은 이 정보를 ‘멜라토닌을 만들지 말라’는 신호로 받아들인답니다. 결국 빛이 멜라토닌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하는 셈이지요 ... ...
- [과학뉴스] 위장크림처럼 세포막 바른 박테리아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박테리아 같은 다른 균주에도 적용할 수 있다”며 “적혈구, 백혈구, 암세포 등 다양한 세포막으로도 코팅할 수 있어 여러 용도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467-019-11390- ... ...
- 고추 vs. 마라 韓中 매운맛 대결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채널은 칼륨 이온이 드나드는 통로로, 신경 세포의 칼륨 농도는 막전위를 형성해 신경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산쇼올이 TrkC와 결합하면 칼륨 채널이 막히고, 이로 인해 입안 감각신경의 흥분 전달이 일시적으로 마비돼 얼얼한 느낌을 받게 된다. 실제로 산쇼올이 ... ...
- 기회는 지금이야 당장 달려볼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약속했다. 그들의 건강한 변화를 응원한다. To be continued. *용어정리 시냅스 가소성신경세포를 잇는 시냅스가 뇌의 경험과 학습에 따라 변화하는 현상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라니냐 ·멜라토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멜라스(Melas)’와 ‘세로토닌’이 합쳐진 말이에요. ‘세로토닌’은 우리 몸의 신경 세포 사이에 정보를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햇빛을 쬘 수 있는 낮에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고 분비돼요. 뇌가 행복을 느끼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사람은 햇빛을 쬐면 기분이 좋아지지요. 해가 떠 ... ...
- [과학뉴스] 병원균 잡는 ‘착한’ 호중구가 담석 유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지목했다. 호중구는 체내에서 병원균을 발견하면 DNA와 단백질로 이뤄진 ‘호중구 세포외덫(NET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을 방출해 붙잡아 죽인다. 이때 NET에 칼슘과 콜레스테롤 등이 엉겨 붙으면서 결정화가 일어나고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담석이 생긴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쥐에게 호중구의 NET ...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표준유전체는 정확도가 99%가 넘는 고품질”이라며 “표준유전체의 염기서열을 다른 세포에 주입해 키우면 원래 생물로 자랄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유전체를 구하는 것이 VGP의 최종 목표”라고 말했다. 정확하고 완성도 높은 표준유전체만 있다면 빙하시대 매머드도 되살릴 수 있다는 게 그의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