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굿바이 2019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디자이너 베이비'는 유전자 교정 기술에 대한 논란을 불러왔고, 죽은 돼지의 뇌
세포
부활은 삶과 죽음에 대한 생물학적인 정의를 곱씹게 했다. 과학동아는 동아사이언스 기자 29명을 대상으로 투표를 진행해 올해 과학기술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은 뉴스를 선정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부활을 삶과 죽음, 또는 그 경계 중 어느 하나로 정의하기 어렵습니다. 또 이미 죽은 뇌
세포
를 인위적으로 되살린다는 점에서 생명 윤리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 ...
[수학뉴스]
세포
사이의 대화 수학으로 엿듣는다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이끈 김 교수는 “복잡한 시스템을 미분방정식으로 단순하게 표현하지 않았다면
세포
의 의사소통 방법을 규명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10월 14일자에 실렸습니다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액체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지질학및행성과학과 등 공동연구팀은
세포
안에 있는 자철석(Fe3O4)에 자기장으로 진동을 유도하면 영하 30도까지 얼음 결정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2018년 5월 7일자에 발표한 바 있다. doi: 10.1073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옮기거나 로봇 팔을 움직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때까지만 해도 원숭이 실험에서 신경
세포
활성 여부에 따라 팔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성공한 건 처음이었습니다. 이후 뇌-컴퓨터 접속기술은 팔뿐만 아니라 사지마비 환자를 움직이는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식물도 움직일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크기가 커져요. 그러면서 식물 줄기의
세포
가 분열하고, 결국 식물의 줄기를 이루는
세포
수가 많아지며 성장하게 된답니다. 한편 옥신은 식물의 줄기가 햇빛을 따라 움직이는 것과도 관련이 있어요. 햇빛이 비치면 식물 줄기 끝에 있던 옥신은 햇빛이 비치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움직이거든요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신체를 얼릴 수는 있어도 온몸의
세포
가 얼어버리면
세포
내의 수분이 팽창해서
세포
막을 파괴하기 때문에 다시 살아날 수 없다. 가장 유사한 사례를 찾자면 신체를 급속히 얼려 보관하는 냉동인간 연구가 있다. 특히 불치병 환자를 냉동했다가 치료법이 발견되면 그때 다시 해동시켜 병을 ... ...
몬스터는 억울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주로 활동했어요. 뱀파이어 아메바는 다른 단
세포
생물의 몸에 구멍을 뚫고
세포
내부 영양분을 빨아먹고 산 것으로 추정돼요. 정확히 말하면 피를 빨아먹는 것은 아니지만, 흡혈동물과 같은 방식이라 이런 이름이 붙었답니다. 이 구멍이 남은 아메바 화석은 과학자들이 고생물의 포식활동을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등 많은 질병이 저산소 및 산소 공급과 관련돼 있다. 이런 질병들 역시 저산소 상황의
세포
기전을 이용한 치료 약물이 효과적일 것이다. 내가 만난 노벨상 수상자 일면식 없던 내게 기꺼이 항체 보내줘 사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가 발표됐을 때, 필자는 흥분을 감출 수 없었다. 수상자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이파리 모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통발을 이용해 가설을 확인했습니다. 통발
세포
가 성장하는 모습을 입체적으로 관찰해,
세포
들이 성장하는 방향과 크기를 수학 모형으로 추측한 겁니다. 그 결과 성장 방향이 통발 안에 있는 분비샘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접선 방향과 비슷했습니다.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학’ 1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