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냉동인간 기술 자체는 완성될 것”이라며 “그러기 위해서는 단
세포
가 아닌 여러 개의
세포
로 이뤄진 장기를 냉동하는 기술부터 완성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습니다 ... ...
밤에 오는 불청객을 쫓아내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그런데 가위눌림이 발생할 때는 뇌의 ‘연수’ 부분에서 뻗어 나온 신경
세포
가 전각
세포
를 억제해 몸이 움직이지 못하지요.수면 마비는 주로 잠이 부족하거나 무서운 영화를 본 후 나타나요. 분당 차병원 소아청소년과 채규영 교수는 “수면 마비는 건강한 수면 습관을 유지하면 발생 빈도를 줄일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이파리 모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통발을 이용해 가설을 확인했습니다. 통발
세포
가 성장하는 모습을 입체적으로 관찰해,
세포
들이 성장하는 방향과 크기를 수학 모형으로 추측한 겁니다. 그 결과 성장 방향이 통발 안에 있는 분비샘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접선 방향과 비슷했습니다.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학’ 1 ... ...
[GO! GO! 고고학자]유물의 나이를 알아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나무를 자르면 나타나는 동심원 모양의 둥근 고리예요. 여름에는 나무의 생장조직에서
세포
분열이 활발하게 일어나 빠르게 성장해요. 이때 만들어진 조직은 색이 연하고 두껍지요. 반면 천천히 자라는 겨울에는 조직의 색이 짙어요. 이렇게 옅은 색과 짙은 색의 조직이 1년에 하나씩 생기면서 ... ...
[과학뉴스] 엉뚱하다고? B급이라고? 2019 황금거위상 vs.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의대 교수와 그의 지도교수였던 고(故) 어니스트 위트브스키 교수는 1950년대
세포
가 자신의 조직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존재를 밝힌 공로로 황금거위상 수상자로 선정됐다.로즈 교수는 토끼에서 추출한 갑상선호르몬을 다시 토끼에게 주입해도 항체가 만들어지며 면역 반응이 일어난다는 ... ...
[과학뉴스] DNA 그물로 감싼 약물, 유전자가위로 싹둑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수 있다.콜린스 교수는 “유전자가위만 바꾸면 표적을 쉽게 바꿀 수 있다”며 “암
세포
뿐만 아니라 다양한 표적에 약물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126/science.aaw512 ... ...
과학의 불꽃으로 지구를 구하라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섬유유연제의 역할을 할 향기 캡슐도 코팅제에 포함 시켰다. 캡슐은 미역, 다시마 등의
세포
벽을 이루는 식물성 원료인 알긴산을 이용해 자체 제작했다.차박사 아들딸 팀의 이인우 양(충북과학고 3학년)은 “이미 발생한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미세플라스틱 발생 자체를 근본적으로 ... ...
[에디터노트] 과학에서 머리카락이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있는 정보는 생각보다 많다. 머리카락 뿌리(모근)에는 핵 DNA가 들어있다. 머리카락 뿌리
세포
10~15개를 확보하면 핵 DNA를 분석해 실종자의 특성을 대부분 확인할 수 있다. 혹여 뿌리가 없는 머리카락이라면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한다.머리카락에서 얻은 DNA 정보로 얼굴을 예측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 ...
지능×유전 지능도 노력하면 좋아지나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glymphatic system)’이 활발해지기 때문일 것이다. 이 시스템은 뇌의 노폐물을 청소하고
세포
를 새로 만든다.또 아직 명확히 규명되진 않았지만 잠들었을 때 나오는 뇌파 중에 수면 방추(sleep spindle)라는 것이 있다. 수면 방추는 낮은 진폭과 12~14Hz(헤르츠)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로, 잠을 자는 동안 1분에 2~ ... ...
[과학뉴스] 비만 치료 위해 뇌 시상하부 정조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분해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TSPO의 지질 대사 조절 기작을 밝힌 것이다.김 교수는 “(
세포
의)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면서 식욕이 줄고 체중이 감소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고 말했다. doi: 10.1080/15548627.2019.165961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