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료
데이타
정보
data
인포메이션
은행
d라이브러리
"
데이터
"(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 어과동 어워드] 지사탐 특별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3호
나비가 탈출하지 않도록 입구를 망으로 씌우는 것을 잊지 마세요! Q 지사탐
데이터
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수 있을까요?우리가 함께 탐사하기로 한 나비들은 기후변화지표종이에요. 이름 그대로 서식 환경을 보고 기후변화가 얼마나 진행됐는지 가늠해볼 수 있는 거예요. 그런데 기후변화는 ... ...
[2020 어과동 어워드]
데이터
로 보는 2020 지사탐!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3호
올해 지구사랑탐사대는 어땠을까요? 이번에는 2020년 지사탐 8기 공식 활동 기간인 4월 1일부터 11월 8일까지의 탐사 활동을 분석해 봤습니다. 코로나19로 오프라인으로 만나지 못했던 대원들, 온라인으로 대신 소통했는데요. 올 한 해 대원들의 탐사 활동은 어땠을까요? 또 지사탐 대원들이 사랑한 생 ... ...
[출동!기자단] 지니와 함께 KT AI 코딩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3호
아니라 학습
데이터
를 바탕으로 판단을 내리지요. 오예슬 주임님은 “AI 지니도 얼굴
데이터
를 학습하면 옆 친구와 나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어요. 실제로 학습을 마친 AI 지니는 두 독자 기자의 얼굴을 구분하고 인식해 친구들을 깜짝 놀라게 했답니다. 코딩블록을 쌓아 강아지 ... ...
베토벤 탄생 250주년 내 뒤를 이을 작곡가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2호
“빠바바-밤~! 삐-비비-빅-빅! YO! YEAH!”나는야 독일의 음악가 루트비히 판 베토벤. 올해는 내가 태어난 지 250년이 되는 해야. 그런데 웬 디제잉이냐고? ... 베토벤 탄생 250주년 내 뒤를 이을 작곡가는 누구?Part1. 베토벤 내가 제일 잘 나가Part2.
데이터
로 작곡한 교향곡Part3. AI만 있으면 나도 ... ...
데이터
로 작곡한 교향곡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2호
예술가들은 소리화 기술을 연구나 작품에 적극 사용해요. 눈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데이터
를 소리로 들으면 직관적으로 차이를 알 수 있고, 새로운 모습이 보이기도 하거든요.지난 9월 24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우주를 소리화한 연주곡을 공개했어요.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천체물리학자 매트 루소 ... ...
[만화뉴스] 빛 입자가 수소의 전자를 스치는 순간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2호
간섭 패턴을 관찰했지요. 연구팀은 간섭 패턴과 수소 분자의 위치 등 콜트림스 현미경의
데이터
를 활용해 광자가 수소의 전자를 차례로 튕겨내는 데 걸리는 시간을 247젭토초 수준에서 측정했어요. 젭토초는 10의 21제곱분의 1초로, 눈을 한 번 깜빡이는 0.3초 동안 247젭토초가 약 1000경 번 지나가죠. ... ...
[헥!헥!핵물리학자] www는 물리학자가 개발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2호
2개 국가의 170여 개 컴퓨팅 시설에
데이터
를 나누어 저장하지요. WLCG에는 매년 10PB 이상의
데이터
가 새로 저장돼 전 세계 약 만 명에 가까운 연구자들이 이용해요. 한국의 기초과학연구원도 WLCG에 속하는 덕에 국내 연구원도 LHC에서 이뤄지는 실험에 참여할 수 있답니다. 용어정리 *쿼크 : 더이상 ... ...
베토벤, 내가 제일 잘 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2호
이론’으로 분석했어요. 네트워크 이론은 다루고자 하는 대상을 점과 선으로 나타내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이에요. 분석하고자 하는 것만 단순하게 표현해 분석 대상들의 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지요.연구팀은 900개의 악보에서 곡의 멜로디를 살폈어요. 악보에서 동시에 연주되는 ... ...
[술기로운 동물원 생활] 턱끈펭귄 │ 동물원 수의사가 남극에 간 까닭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1호
배를 가득 채우고 다시 둥지로 돌아오지요. 이때 펭귄의 몸에 있는 기록 장치를 떼어내
데이터
를 분석하면 펭귄의 생활을 알 수 있는 거예요.일주일이 지난 후 연구팀은 바다에서 돌아온 펭귄의 몸에 있는 기록 장치를 떼어냈어요.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펭귄이 얼마나 깊이 잠수하는지, ... ...
[기획] 금성에서 생명체 흔적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관측했어요. 그리고 밀리미터파 스펙트럼에서 또다시 흡수선 굴곡을 확인하였답니다.이
데이터
를 분석해 본 결과, 금성 50km 고도의 대기 속 포스핀의 양은 20ppb였어요. ppb는 대기 10억g에 포함된 미량물질의 질량을 g으로 표시한 단위로, 20ppb는 공기 분자 10억 개 중에 포스핀 분자가 20개 있다는 것을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