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벤져스 : 엔드게임 속 CG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화면 위쪽을 쳐다보는 순간…! 와이파이가 안 켜져 있다는 걸 깨달았소! 끄아아악!내 데이터…. 저는 영화를 보통 집에서 많이 봐요. 영화관까지 가긴 좀 귀찮더라고요. 하지만 어벤져스 시리즈 만큼은 반드시 영화관에 가서 봤답니다. 히어로들의 화려하고 호쾌한 액션은 거대한 스크린으로 ... ...
- [지구사랑탐사대] 코로나19에도 새는 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함께 직박구리(삐이이익!), 꿩(꿩꿩!) 등 다양한 새의 울음소리를 듣고 구분하며, 데이터 수집을 위해 앱에 소리를 녹음했어요. 장이권 교수님은 “도시와 시골의 배경 소리가 다른 만큼 새도 사람처럼 지역마다 울음소리 패턴이 다르다”며, “같은 종이라도 쓰는 사투리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 ...
- [기획] 자연의 소리가 바뀌고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정도였어요. 또 소리 데이터의 양도 2013년부터 줄기 시작했고 심지어 2015년에는 소리 데이터가 거의 없는 걸로 나타났어요. 그만큼 이 장소에 소리를 내는 동물의 수가 줄어들었다는 뜻이죠.이에 대해 버니 크라우스 박사는 기후변화가 원인이라고 분석했어요. 소리를 녹음한 5월 6시 평균 온도를 ... ...
- [JOB터뷰] 따뜻한 사회역학자, 김승섭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과학으로 보기보다, 어떤 대상을 합리적으로 바라보는 태도라고 볼 필요가 있어요. 데이터를 모아 가설을 세우고, 근거에 따라 주장하는 거죠. 만약 그 근거가 잘못됐다면 내가 틀렸다는 반대 주장에 대해서도 열려 있는 태도로 임해야 마땅하겠지요. 따라서 청소년들에게 과학과 인문학 중 뭐가 더 ... ...
- [특집] 해커의 침입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우선, 인공지능에게 그동안 탐지한 수백억 건의 공격 기록을 학습시켰어요. 인공지능은 데이터를 한꺼번에 많이 보내거나 여러 기기를 동시에 공격하는 등 이상환 활동을 해커의 활동으로 파악해 집중적으로 감시하고 있답니다. KISTI는 국가기관의 정보뿐 아니라 홈페이지 이용자들의 정보를 ... ...
- [기획] AI가 자연의 소리를 학습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자생생물 소리도감’을 발간했고, 이후에도 매미와 박쥐, 여치, 등 여러 동물들의 소리 데이터를 모으고 있답니다. 김태우 연구사는 “2026년까지 동물들의 소리를 정리해 소리은행을 완성하고,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머지 않은 미래에 스마트폰 앱으로 우리나라 ... ...
- [시사과학] 공인인증서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해요. 또 사용 기록을 일부러 지우거나 몰래 정보를 빼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데이터를 주고받은 사실과 이용자의 기록을 숨기지 못하도록 관리해야 하지요.힌편, 김승주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지금까지 은행 직원이 얼굴을 직접 확인하고 발급하는 ‘대면’ 인증서만 써왔는데, ... ...
- 피타고라스와 이효리의 공통점은? 피타고라스 식단!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유명한 사람들이 잔뜩 모여있네요. 피타고라스, 스티브 잡스, 이효리, 빌리 아일리시…. 서로 만나본 적도 없을 것 같은 이들에게 한 가지 공통점이 있어요. 바로 ‘채식인’이라는 거예요. 인포그래픽으로 세계 채식의 동향을 알아보고 ‘채식주의’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2020년 9월 23일, 울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기자도 같은 질문을 해버리고 말았다. 그러자 “AI 연구는 분야가 중요하지 않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AI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우문현답이 돌아왔다. 그리고 담담히 덧붙였다. “이제는 ‘너희가 왜 AI를 연구해?’라는 질문은 옳지 않은 것 같아요. 모든 분야에서 해야 하는 ... ...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10명 내외로 이뤄진 팀들이 8시간씩 교대하며 실험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원하는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모이는지 등을 항상 확인하지요. 이런 일을 미국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BNL)의 상대론적중이온가속기(RHIC)에서는 약 천 명의 과학자들이, LHC에서는 약 만 명의 과학자들이 전세계에서 찾아와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