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양대학교
한양대학
한대
뉴스
"
한양대
"(으)로 총 768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전하고 유연한 생체연료전지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2
연구진이 안전성과 유연성을 고루 갖춘 고성능 생체연료전지를 개발했다. 김선정
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 교수팀은 탄소나노튜브와 생체효소를 이용해 유연하면서도 강한 섬유형태의 생체연료전지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생체연료전지는 촉매를 생체촉매인 효소로 ... ...
이 유전자 바뀌니 간암 재발률이 껑충
과학동아
l
2014.06.11
울산의대 교수(가운데), 이한주 울산의대 교수(오른쪽). -
한양대
학교 제공 공구
한양대
의대 병리학교실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 연구진과 공동으로 간암 환자 231명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RB1’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간암이 재발하기 쉽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 ...
“문·이과 통합? 적분 기호 모르는 공대생 수두룩할 것”
과학동아
l
2014.06.10
수 있는 셈이다. ●“문·이과 통합형 교과과정은 학력저하로 이어질 것” 배영찬
한양대
입학처장(화학공학과 교수)은 “최근 교육부가 발표한 문·이과 통합형 교과과정은 매우 염려스럽다”고 운을 뗐다. 문·이과 통합형 교과과정에서는 문·이과 통합 수학ㆍ과학교과서를 만들 ... ...
3D 얼굴 모델링, 그래핀 분리막 "기초 연구가 돈 되네"
과학동아
l
2014.05.28
우수 사례로 꼽힌다. ‘한국 이산화탄소 포집 및 처리 연구개발센터’의 박호범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팀은 기존 분리막보다 이산화탄소 분리 성능이 1000배 넘게 뛰어나면서도 값은 더 싸게 만들 수 있는 분리막 신소재를 개발했다. 탄소 원자로 이뤄진 얇은 막인 그래핀이 ... ...
D램, F램은 알겠는데, Re램?
과학동아
l
2014.05.25
전형탁
한양대
교수(왼쪽)와 서형탁 아주대 교수(오른쪽) -
한양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메모리로 각광받는 저항변화 메모리(Re램) 개발에 그래핀을 적용하고 저항변화 ... 산소 이온이 전계에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단일층 그래핀의 화학적 결합 상태가 변한다. -
한양대
제 ... ...
찍고, 부수고, 파고…'우주 광산' 파헤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4.05.23
일주일 동안 1km가량 이동하면서 1m 깊이에서 시료를 채취한 뒤 분석하게 된다. 이태식
한양대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교수는 “우주 광물을 채집해 지구로 가져온다는 계획을 넘어 아예 달이나 화성 표면에 우주 광산을 개발해 그곳에서 나오는 광물로 우주 기지를 건설하는 날도 오게 될 것”이라고 ... ...
레일위 8mm 떠 소리없이 스르르…세계 두 번째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개통 임박
과학동아
l
2014.05.15
국내에서는 초고속 자기부상열차 개발도 진행 중이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기계연,
한양대
등과 함께 최고 시속 550km를 낼 수 있는 초고속 자기부상열차 ‘수마(SUMA·개발명)’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철도연은 수마를 테스트하기 위해 충북 오송에 150m 길이의 간이 시험노선을 구축 중이다. ... ...
토종 무인자동차, 시속 140km로 달렸다
과학동아
l
2014.05.06
175㎞로 달린 적은 있지만 국내에서 제작된 무인자동차 중에는 최고 속도다. 국내에서는
한양대
미래자동차공학부 선우명호 교수팀(팀명 A1)이 2012년 현대자동차그룹이 개최한 ‘자율주행자동차경진대회’에 출품한 무인자동차가 시속 80㎞로 달린 바 있다. 연구팀은 현대차가 판매하고 있는 ... ...
‘땀구멍 지도’로 범인 잡는다
과학동아
l
2014.04.30
지문 분석법에 이어 범죄 수사에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종만
한양대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수분을 만나면 색이 변하는 고분자 물질을 이용해 ‘땀구멍 지도’를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기존 범죄 수사에 쓰이는 지문 분석은 지문의 무늬(융선) 분석에 의존해 ... ...
배터리? 인프라?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4.03.19
역시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도 리튬인산배터리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한양대
선양국 교수팀이 겉은 리튬인산철(LiFePO4)로, 속은 인산망간리튬(LiMnPO4)로 된 이중구조의 2차전지 양극 소재를 개발한 바 있다. 기존 배터리에 비해 폭발 안전성이 500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