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양대"(으)로 총 76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2015.01.13
- KAIST와 한양대 연구진이 공동 개발한 장애인 보조용 웨어러블 로봇의 모습.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제공 1980년대 이전 개봉됐던, 많은 영화를 보면 그 시절 예상했던 현재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어 흥미로울 때가 많다. 시간여행을 그린 영화 ‘백투더 퓨쳐2’에는 2015년 현재의 모습을 그리고 있는데, ... ...
- 초소형 3층 건물 만드는 비법2015.01.11
- 한 것으로 구조물의 이름은 ‘3중층 건물’이다. 미국 일리노이대와 노스웨스턴대, 한양대 연구진이 공동으로 작성한 논문을 보면 아기자기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3차원 구조물들을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연구진은 2차원 평면 위에 재료를 기하학적으로 깔아 놓은 뒤에 인위적인 힘을 ... ...
- 18.9조원 R&D 예산 다루는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신규 전문위원 위촉2015.01.05
- , 양상진(KTSAT), 박정활(한도엔지니어링), 노태수(전북대), 김창완(중앙대), 성태현(한양대), 이재준(금오공대), 이용희(해양대), 이재학(한국해양과학기술원), 조황희(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에너지‧환경(총 16명) 박문희(대성청정에너지연구소), 김한곤(한국수력원자력), 김용표(이화여대), 설광원 ... ...
- 공학한림원 신입 정회원 30명 선정2015.01.05
- 명단 △전기전자정보공학 분야(5인) 노종선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 정윤철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 박상일 ㈜파크시스템스 사장 박성욱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 △기계공학 분야(7인) 이관행 광주과학기술원 부총장 최해천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 ...
- 뇌파로 영화 흥행 점치는 ‘뇌 별점’ 매겨 볼까2014.12.26
- 낸다. 영화를 보는 동안 뇌파 측정기는 뇌의 곳곳에서 발생하는 베타파를 측정했다. 한양대학교 제공 임창환 생체공학과 교수는 “퍼즐이나 수학 문제를 푸는 등 무언가에 차분하게 열중할 때는 베타파가 대체로 비슷하게 나오지만 흥분, 공포, 스트레스 등 감정의 기복이 생길 때는 파형이 서로 ... ...
- 우리가 걸을 때 쓰는 근육 몇 개나 될까2014.12.15
- 결과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웠다. 이제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과 권태수 한양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 분당서울대병원 등 공동연구팀은 보행에 사용되는 근육 100여 종의 정밀한 움직임을 재현해 사람의 보행을 모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보행 과정에 다양한 ... ...
- 밀레가 ‘모나리자’를 그렸다면 어떤 모습일까? 2014.12.15
- 작품을 대상으로 한 빅데이터 연구가 가능해졌다. 정하웅 KAIST 물리학과 교수와 손승우 한양대 응용물리학과 교수팀은 서양화 1만 점을 대상으로 그림의 픽셀별 색깔과 밝기 정보를 비교했다.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색과 밝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비교해서 시대별 화풍의 특징을 ... ...
- 한국공학한림원 차기 회장, 오영호 KOTRA 사장 선임2014.12.15
- 부회장직을 다년간 수행했으며 현재는 이사로 활동 중이다. 부회장에는 권오경 한양대 석학교수, 김문겸 연세대 교수, 이건우 서울대 공대학장,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 사장, 변대규 휴맥스홀딩스 회장 등 5명이 선임됐다. 신임 회장단의 임기는 내년 1월 1일부터 2년간이다. ... ...
- 올해 ‘한국공학상’에 방승찬 이정용 남인식 씨2014.12.15
- 39), 조경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선임연구원(37), 최태림 서울대 화학부 교수(36), 김형범 한양대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교수(38)가 받는다. 이 상은 자연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연구개발 업적이 뛰어나고 성장 잠재력이 큰 젊은 과학자에게 주어진다. 1997년 처음 제정된 뒤 만 40세 미만의 과학자를 ... ...
-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2014.11.10
- ●2, 3분이면 입고 벗는 ‘반바지 로봇’ 김정 KAIST 기계공학전공 교수와 한창수 한양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공동으로 하체 신경이 살아 있는 환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로봇을 개발 중이다. 연구진은 근육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읽어내는 근전도 센서와 고관절의 운동속도를 감지하는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