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양대"(으)로 총 7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학협력]기업+대학, 융합과 협력 창조적 인재가 쏟아진다동아일보 l2013.11.05
- 깨고 융합과 통섭을 추구하는 대학들이 산학협력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한양대 에리카캠퍼스가 시행 중인 COPE(융합, 독창성, 특허, 기업)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융합과 특허를 통한 대학생 창업을 의미하는 COPE는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을 한 팀으로 구성해 창업 아이디어를 ... ...
- 한양대에 원전해체안전연구센터 설치동아사이언스 l2013.11.02
- 한양대에 ‘원전해체안전연구센터’가 설치된다. 한양대는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추진하는 이 사업을 유치하는데 성공했다고 1일 밝혔다. ‘원전해체안전연구센터’는 이미 운행을 멈췄거나 노후화된 원전을 안전하게 해체하고 오염물질 방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거나 관련 ... ...
- ‘명품학과에는 융합, 교육, 소통이 있다’과학동아 l2013.10.25
- “습지나 하구 등에 가는 등 평소에도 탐방이나 실습 기회가 많다”고 말했다. 한양대 미래자동차공학과는 자동차 산업의 변화에 맞춰 전기전자공학과 기계공학이 융합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학생은 세계적인 공대인 캘리포니아공과대 교수의 지도를 직접 받을 수 있으며, 전교생이 ... ...
- 노벨상 역대 수상자 4명 참석… “한국 최대의 자연과학축제”동아일보 l2013.10.14
- 2011년 한국 청소년들과 만난 적이 있다. 서울 강동구 상일여고의 수학·과학 영재 학급이 한양대 자연과학대와 연계해 진행하는 프로그램에서였다. 당시 특강에서 그는 “아무리 노력해도 세상이 알아주지 않을 수 있다. 중요한 건 최선을 다해 의무를 다한 자신에게 스스로 만족감을 느끼는 거다. ... ...
- [채널A]‘꿈의 신소재’ 온실가스 잡는다…그래핀 필터 첫 개발채널A l2013.10.06
- 자신의 주장을 접고 연구진의 성과를 인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박호범 /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 그래핀 분리막은 기존 고분자 분리막에 비해서 CO2를 1000배 이상 빨리 통과시킬 수 있구요. CO2와 질소 같은 경우 20배 이상 더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2~3년 안에 ... ...
- 그래핀 기술 세계 최초 상용화, 우리나라가 먼저 한다동아사이언스 l2013.10.04
- ‘꿈의 신소재’ 그래핀의 상용화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한양대 에너지공학부 박호범 교수는 그래핀을 이용한 차세대 이산화탄소 분리막 기술을 개발하고 2, 3년 내에 상용화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분리막은 정수기 속 필터처럼 특정 물질만 통과시키는 막을 ... ...
- [신나는 공부]정시모집 늘어나니 수능에 ‘올인’? 교내 비교과 활동 챙겨야동아일보 l2013.10.01
- 필요가 있다. 단, 무분별한 대회 참가는 큰 도움이 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정은 한양대 입학사정관은 “‘학생부 기록 내실화’ 방침에 따라 교내 대회에 참가한 총인원수도 학교생활기록부에 표기되므로 평가과정에서 학교에서 무분별하게 상을 준 대회를 찾아내기가 더욱 쉬워질 ... ...
- 온도 낮추면 전기 안통한다고? 아니올시다동아사이언스 l2013.09.16
- 전기가 통하지 않고 절연체가 되는 것을 '금속-절연체 상전이 현상'이라고 한다. 한양대 물리학과 조준형 교수와 이준호, 김현중 연구원은 이 상전이 현상을 설명하던 기존의 이론을 뒤집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 연구진에 따르면 게르마늄에 나노(1nm는 10억 분의 1m) 두께로 ... ...
- 전 세계인을 경악케 한 1mg동아사이언스 l2013.09.16
- 있어 가난한 테러리스트나 사교 집단들이 사용하기 편한 무기라고 판단하고 있다. 한양대 화학과 최정훈 교수는 “군인들에겐 방독면이나 아트로핀 주사가 보급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 대비가 가능하지만 일반인 중 평소 이것들을 가지고 다니는 사람이 누가 있겠냐”며 “사린가스에 ... ...
- 日 신형 고체연료 로켓 ‘엡실론’ 발사성공동아일보 l2013.09.16
- 일본이 처음 발사한 고체연료 로켓’이라고 보도했다. 일본 우주개발 전문가인 김경민 한양대 교수는 “엡실론은 언제든 무기로 전용될 수 있다”며 “일본 국산 기술로 개발한 데다 발사비용을 낮추고 대량생산도 쉬워 군사적 의미가 작지 않다”고 말했다. 도쿄=박형준 특파원 lovesong@donga.com ... ...
이전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