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결합에너지
"(으)로 총 945건 검색되었습니다.
난방용 태양열 저장 열배터리 효율 2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신유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 연구원(왼쪽)과 신동호 연구원이 열배터리 성능을 테스트하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열배터리 효율을 크게 끌어올리는 기술을 개발했다. 열배터리는 태양열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장치다. 신유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뭐 재미있는 게 좀 있나...' 매주 수목금 아침이면 커피를 홀짝이며 주간 학술지 사이트를 둘러보는 게 작은 즐거움이다. 수요일에는 ‘미국립과학원회보’, 목요일에는 ‘네이처’, 금요일에는 ‘사이언스’ 최신호가 공개된다. 그런데 수요일이 약간 번거롭다. 정기구독을 하고 있는 ‘네이 ... ...
공장 초미세먼지 90%이상 줄이는 복합집진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29
시민들이 마스크를 쓴채 서울 광화문 앞을 지나고 있다. 수도권 미세먼지 농도는 세계보건기구(WHO) 권고치의 2~3배를 넘기며 기승을 부리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입자와 가스 형태를 띠고 있는 다양한 초미세먼지를 90% 이상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초미세먼지 배출량 중 32%를 차지하는 산업시 ... ...
QLED, 성능 떨어뜨리는 ‘불균형’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5
QLED의 일반적인 구조. 안쪽에 양자점 발광층이 자리하고, 아래 부분에서는 전자가, 위에서는 전자가 빠진 빈 공간(홀, 양공 또는 정공)이 주입된다. 전자와 홀의 불균형이 양자점 성능을 떨어뜨린다. - 사진 제공 ACS NANO 현재 휴대전화와 텔레비전 등에 널리 쓰이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뒤를 이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합성석유가 고유가 시대 대안이 될 수 있을까
2018.10.23
지난주 경제 분야에서 가장 화제가 된 뉴스는 유가 인상에 따른 한정적인 유류세 인하 검토일 것이다. 리터 당 휘발유 가격이 1700원에 육박하면서 서민 경제에 미치는 부담이 커지자 정부가 6개월(필요하면 연장) 동안 세금을 10% 줄여주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30%는 줄 ... ...
양자컴퓨팅 개발 열쇠 ‘단일원자 핵스핀’ 측정 세계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IBS, 핵스핀-전자스핀 상호작용도 원자단위서 관측 “양자메모리 넘어 혁명적인 성과로 이어질 것” 주사터널현미경(STM) 탐침으로 철 원자를 관찰하고 있는 모습. 기초과학연구원(IBS)은 STM에 독자 개발한 전자스핀공명(ESR) 기술을 접목해 원자의 핵스핀을 측정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 ... ...
빛으로 양자상태 자유자재로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빛으로 양자 상태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이 나왔다. 양자 원리가 적용된 양자 컴퓨터와 양자 암호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광석 부산대 교수가 이끈 국제 연구팀은 ‘아하로노프-봄 효과’에 따른 양자의 진동주기를 빛의 세기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
UNIST, '합리적인 유기물 광촉매 설계 플랫폼'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권민상 울산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진이 세계최초로 유기물 광촉매 개발 플랫폼을 개발했다-UNIST 제공 잉크나 계면활성제에 들어가는 고분자를 생산할 때 광촉매가 사용된다. 국내 연구진이 맞춤형 광촉매 개발 플레폼을 개발했다. 권민상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 ... ...
폐수 속 골칫덩이 발암물질, 나노고분자로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KIST 연구팀이 6가 크롬이 들어있는 노란색 수용액에 가루 형태의 고분자 '폴리피롤'을 첨가해 6가 크롬을 제거하고 있다. -사진 제공 KIST 국내 연구진이 인체에 치명적인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Cr6+)’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고영진 한국과 ... ...
佛 루브르박물관도 문화재 보존 위해 원자력을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이온빔 가속기. 문화재의 성분을 정밀 분석할 수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지난 1978년 일본 사이타마(埼玉)현 이나리야마 고분(稻荷山古墳)에서 출토된 금착명철검(金錯銘鐵劍)에는 115개의 문자를 새겨져 있다. 일본 연구진이 X선과 감마(γ)선으로 투과 시험을 통해 역사의 선인이 검 속에 감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