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결합에너지
"(으)로 총 997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 광원 제어 기술개발로 양자컴퓨팅 시대 앞당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김제형 UNIST 자연과학부 교수(오른쪽) 연구팀은 원자 한 개 수준의 두께인 아주 얇은 '이차원 반도체 물질'과 부분적으로 힘 제어가 가능한 '실리콘 미세 소자(MEMS)'를 결합해 양자 광원의 위치와 파장을 동시에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UN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양자 컴퓨팅과 양자 통신에 사용되는 고 ... ...
차세대 디스플레이 '퀀텀닷' 21배 밝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30
KAIST 연구팀이 개발한 블록공중합 고분자 및 퀀텀닷으로 이뤄진 나노 복합소재는 기존보다 빛 흡수 및 방출 효율이 4~5배씩 높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전체적인 발광 특성은 기존 필름 퀀텀닷보다 약 21배 높은 것으로 측정됐다. KAIST 제공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꼽히는 양자점(퀀텀닷)의 밝기를 기 ... ...
韓美연구팀, 패혈증 2시간 내 검출하는 진단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16
박성규 재료연구소 표면기술연구본부 나노표면연구실 책임연구원과 임형순 미국 하버드의대 연구팀이 패혈증이나 조류독감을 약 2시간 이내에 검출할 수 있는 3차원 바이오센서 칩을 개발했다. 재료연구소 제공 한국과 미국의 과학자들이 포함된 국제 연구진이 패혈증과 조류독감과 같은 동물매 ... ...
차세대 연료 수소 대량생산 가능한 새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5
정후영 UNIST 연구지원본부 교수와 양지은 연구원. UN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는 새로운 고효율 촉매를 개발했다. 수소를 값싸게 대량 생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정후영 연구지원본부 교수와 신현석 화학과 교수, 양지은 연구원팀이 수소를 ... ...
한국 과학자들, 바닷물-민물 농도차 발전 핵심기술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순천만의 일몰 모습. 쪽빛 하늘과 S자로 굽이쳐 흐르는 강하구. 그리고 석양을 가린 구름이 한폭의 그림과 같다. 순천만에서는 누구나 사진작가가 된다고 한다. 바닷물과 민물 사이의 염분 농도 차이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재생에너지 기술인 ‘해양 염분차발전’ 기술의 핵심 원리를 밝히는 수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송석호 한양대 교수...신개념 광소자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송석호 한양대 물리학과 교수. 과기정통부 제공. 송석호 한양대 물리학과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에 선정됐다. ‘열린-양자역학계에서의 비대칭적 에너지 흐름’을 독창적으로 연구해 신개념 광소자를 개발한 공로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 ... ...
전기분해 수소생산 복합재료 촉매 개발…“비싼 백금 대체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이성호 KIST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장.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할 때 사용하는 값비싼 백금 촉매를 대체할 저비용 촉매 복합재료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이성호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 센터장과 조한익 건국대 미래에너지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 ...
인공 전자피부도 찔리면 “아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싱가포르서 개발한 인공 전자피부 0.001초 만에 감지하고 신호전달 스스로 상처 봉합하는 피부도 만들어 DGIST, 고통 느끼는 전자피부 완성 압력-온도 감지하고 고통까지 표현 올해 7월 싱가포르국립대 연구팀은 초고속 촉각센서를 개발해 감촉을 느끼는 인공 전자피부를 만들었다. 사진 속 검지 ... ...
스펀지 구조 나노소재로 열을 전기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탄소나노튜브에서 열을 전기로 바꾸는 모습을 형상화한 그림이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입는 전자기기’의 열을 전기로 바꿀 수 있는 초소형 발전소자가 개발됐다. 입는 전자기기 외에 항공우주, 자동차 등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전기로 바꾸는 데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 ...
"방사성 오염수 저장부지 없다는 日 주장은 거짓"
동아사이언스
l
2019.08.14
숀 버니 그린피스 독일사무소 수석 원자력전문가가 1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의 문제점과 진실’ 기자간담회에서 방사성 오염수를 방류할 경우 해류를 타고 어떻게 동해와 태평양에 퍼지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정아 기자 “한국은 일본과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나라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