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우주 방사선 예측 모델 개발, 공군의 우주 기상 인프라 구축 지원 임무, 보현산천문대에 있는 지구 자기장 측정기 운영 등을 담당하고 있다.그는 지구 방사선, 자기권, 오로라, 태양 플레어, 코로나물질방출(CME) 등 우주 날씨 연구 분야의 다양한 주제를 종합해 2012년 청소년을 위한 책으로도 펴냈다 ... ...
- [과학뉴스] 아마추어 천문가들, 새로운 오로라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기존의 오로라와는 색깔도, 모양도 다른 새로운 오로라를 발견했어요. 이 오로라는 보라색의 긴 리본 모양이에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이 인공위성을 사용해 이 오로라의 위치와 발생 과정을 추적한 결과, 이 오로라는 섭씨 6000℃에 달하는 뜨거운 기체가 지구 표면 ... ...
- Part 4. 별별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망원경과 과학자들의 활약이 정말 대단하군! 엇! 그런데 과학자뿐만이 아니라 인공지능과 일반 시민들까지 외계행성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고?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하지? 더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내는 인공지능 사냥꾼!최근 새로운 행성사냥꾼이 등장했어요. 빠른 속도로, 수많은 데이터를 동 ... ...
- [과학뉴스] 별 집어삼키는 초거대 블랙홀의 ‘트림’ 포착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광속의 4분의 1정도로 측정됐다. 연구에 참여한 미구엘 페레즈토레스 스페인 안달루시아천문연구소 연구원은 “29개 기관이 오랜 기간 공동연구를 통해 이룩한 성과”라며 “제트 현상을 관찰하면 수억만 년 전 은하가 생성된 환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26/science.aao466 ...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3월, 미국의 유명한 시사 잡지인 타임지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3명의 천문학자를 선정했어요. 그 주인공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나탈리 배탈하 박사, 벨기에 리에주대학교의 미카엘 길론 박사, 영국 퀸메리대학교의 길렘 앙글라다-에스쿠데 박사지요. 이들은 모두 외계행성을 ... ...
- [수학공작실] 빨대로 만드는 정사면체 복합체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플라톤은 우주를 이루는 원소가 다면체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고, 독일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케플러는 태양계를 정다면체와 연관시켜 설명했습니다. 각 정다면체 속에서 다른 정다면체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이후 다양한 방법으로 정다면체를 연구하면서 여러 가지 시도가 ... ...
- Intro. 제2의 지구를 찾아라! 행성 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후훗! 나는야, 전 우주를 누비며 외계행성을 찾는 행성사냥꾼! 망원경과 좌표계만으로 수많은 외계행성을 찾았지. 외계행성에서 생명체를 찾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그런데 지구에도 행성사냥꾼이 있다면서? 나보다 뛰어난 행성사냥꾼이 있는지 확인하러 얼른 가봐야겠군! ▼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2. 행성사냥꾼들의 비법 대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제2의 지구를 찾아라! 행성 사냥꾼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Part 2. 행성사냥꾼들의 비법 대공개!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Part 4. 별별 행성사냥꾼!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 ...
- 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세우고 약 8시간씩 돌아가면서 운영하고 있지요. 각기 다른 대륙에 위치한 세 개의 천문대가 같은 중심별을 연속적으로 관측하는 덕분에 연구자들은 24시간 동안 쉬지 않고 외계행성을 찾을 수 있답니다. KMTNet은 ‘미시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해 외계행성을 찾아요. 원래 두 별은 각각 고유의 ... ...
- [에디터 노트] ‘서밋’으로의 초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 김홍표 아주대 교수(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정재승 KAIST 교수(뇌공학),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우주 날씨)이 서밋을 이끌어갈 주인공들이다.뇌와 양자, 유전자와 AI, 우주 속에서 보이지 않던 새 길이 나타날 수 있다. 7월 21일, 독자 여러분을 그 서밋에 초대한다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