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토끼와 떠나 보자! 달나라 안내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안녕? 난 달에 사는 옥토끼야. 아까 네가 여기 달나라를 올려다보는 걸 봤지. 추석이라 둥근 보름달을 보고 소원을 빌었구나? 추석 연휴는 긴데, TV엔 재미있는 것도 안 하고…. 재미있는 일을 만들어 달라고? 그럼 나와 함께 달나라 여행을 떠나 보지 않을래?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1. ... ...
- 달나라 여행 어디서 묵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최근에는 지구인들이 아예 달에 기지를 짓고 살 계획도 세우고 있어. 그런데 달은 지구와 달라서 아무 곳에서나 살아가긴 힘들어. 기온차도 크고 우주 방사선에 노출되면 위험하거든. 그래서 실제로 과학자들은 어디에 달 기지를 지으면 좋을지 알아보고 있단다. 후보지 1. 외부로부터 보호해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이런 빛을 지구에서 관측하면, 마치 렌즈를 통과한 것처럼 천체가 더 밝아 보이지요. 천문학자들은 이를 ‘중력렌즈 효과’라 부른답니다. 전반사는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빛을 쏘았을 때, 빛이 굴절을 일으키며 통과하지 못하고 경계에서 완전히 반사되는 현상을 말해요. ‘파동이 다른 물체의 ... ...
- Part 3. 우주에도 다이아몬드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연구팀이 다이아몬드 띠로 둘러싸인 외계 항성계를 발견했어요. 20여 년 전부터 천문학자들은 우주에서 오는 비정상적인 마이크로파의 정체를 궁금해 했어요. 보통 마이크로파는 은하에서 나오는데, 이 마이크로파는 별에서 나왔거든요. 연구팀은 미국과 호주에 있는 전파망원경으로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케플러라는 이름은 광학망원경 연구와 천체물리학의 선구자로 불리는 17세기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에서 따왔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그간 지구에서 약 6500만km 떨어진 지점에서 태양궤도를 따라 372.5일 주기로 공전하며 외계행성을 탐색해왔다. 외계행성은 태양계 바깥에 있는 행성 ...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남 학예연구사는 “이런 흐름은 삼국시대 고분 벽화, 그리고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천문도인 국보 제228호 천상열차분야지도로 이어져 내려온다”며 “우리 민족이 과학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12m 미디어아트로 재탄생한 ... ...
- [팩트체크 1] 남북, 65년만에 평화로운 분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거예요. 지금 우리가 쓰는 시간인 ‘표준시’는 경도에 따라 정해져요.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하며, 15°마다 선을 그어 1시간씩 차이가 나지요. 이 선을 ‘경선’이라고 한답니다. 각 나라는 가까운 경선을 기준으로 시간을 정하지요.우리나라는 1908년 대한 제국에서 처음으로 동경 127. ...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천문현상을 모사할 계획이다. 이 역시 세계 최대 규모를 계획하고 있다. 신지혜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빅뱅 이후 핵반응에 따른 별의 생성과 초신성 폭발, 은하의 생성과 진화 등을 모두 시뮬레이션에 담을 예정”이라며 “기존보다 27배 큰 규모로 세계에서 가장 넓은 우주를 보게 될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불과 10억분의 1밖에 차이나지 않는 극저온의 상태를 만들었다. 신용일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물리학에서 절대영도는 분자의 운동이 완전히 정지해 에너지가 없는 상태를 말한다”며 “입자가 가진 운동에너지를 뺏어 바닥상태로 만들면 절대영도까지 냉각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CAL ... ...
- 완성된 웡카 초콜릿, 어떻게 담을까?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차곡차곡 쌓을 때는 피라미드로, 케플러의 추측1611년 독일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는 ‘3차원 공간에서 크기가 같은 구를 가장 빽빽하게 쌓는 방법은 구를 피라미드로 쌓는 것’이라고 추측했습니다. 구가 서로 맞닿도록 촘촘하게 배열한 다음 4개의 구 사이 움푹 들어간 곳에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