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optics
기하광학
기하
물리광학
물리
뉴스
"
광학
"(으)로 총 1,098건 검색되었습니다.
심장 꿰뚫어 보는 홀로그램 현미경
과학동아
l
2019.09.04
관찰할 수 있는 현미경을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분자분
광학
및동력학연구단은
광학
정보 획득 능력을 기존 현미경보다 초당 100배가량 높인 새로운 홀로그램 현미경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17일자에 발표했다. 홀로그램 현미경은 레이저 2개가 서로 만나 ... ...
KAIST, 퇴직 교수와 신진 교수 협업하는 '초세대 협업 연구실' 추가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9.03
을 구축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나노포토닉스 연구실 미래 비선형 광전자 소자 및 양자
광학
소자를 개발에 매진한다. 마이크로∙나노 공진기를 기반으로 빛∙물질 상호작용의 극한을 탐구하는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새롭게 선정된 두 연구실은 향후 5년간 총 5억 원의 운영비를 지원받게 되며 ... ...
"세계 1등 제품 美·日 독주"…韓·獨도 비교적 선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9.02
보유해 2위를 기록했다. 전기자동차 등 자동차와 관련부품, 반도체와 관련 부품소재,
광학
제품, 프린터 산업 등에서 다수의 1등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최근 10년을 5년씩 나눴을 때, 2008~2013년에는 31%였던 1등 제품 점유율이 2013~2018년 5년 동안에는 26%로 줄어 최근 1등 제품의 점유 ... ...
원자 1개까지 들여다보는 MRI
과학동아
l
2019.08.08
‘네이처 물리학’ 7월 1일자에 실렸다. MRI는 원자의 스핀 자기장을 읽을 수 있어
광학
적인 방법으로 파악하기 어려웠던 단백질 구조 등을 확인하는 데 쓸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해상도가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에 그쳐 이보다 작은 개별 원자를 또렷이 관찰할 수 없다는 한계가 ... ...
1000조분의 1초 단위로 나노입자 움직임 찍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연구진은 또 ‘전자직접검출 카메라’를 검출기로 사용해 검출 한도를 10배 정도 높였다.
광학
현미경은 투과나 반사된 빛을 이용해 이미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지만 전자현미경은 시료의 모습을 담은 전자를 광자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전자로 바꿔 전기적 신호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검출기가 ... ...
살아있는 동물 뇌 속을 훤히 들여다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최원식 기초과학연구원(IBS) 분자분
광학
및동력학연구단 부연구단장 연구팀은 절개 수술 없이 살아있는 생물체의 신경망을 고해상도로 관찰할 수 있는 초고 ... 커뮤니케이션즈’ 17일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최원식 기초과학연구원(IBS) 분자분
광학
및동력학연구단 부연구단장. IBS 제공 ... ...
툭 건드리면 보안용 화면으로...투명도 자유자재 '스마트윈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고 교수는 “전기 에너지 없이 단순히 충격을 주거나 가열해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광학
적 특성을 만들어낼 수 있어 단순하고 내구성이 높다”며 “투명하고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진 액체 기반 장비로, 휘어진 곳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오른쪽 위에 충격을 가하자 ... ...
[인사] 한국천문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한국천문연구원 △
광학
천문본부장 김승리 △전파천문〃 김기태 ...
공전주기 6.91분밖에 안 되는 이중성계 백색왜성 관측
연합뉴스
l
2019.07.26
들여다보게 될 몇 안 되는 중력파 발원지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미국 국립
광학
천문대(NOAO)에 따르면 캘리포니아공대(Caltech) 대학원생 케빈 버지가 이끄는 연구팀은 백색왜성 이중성계 'ZTF J1539+5027' 관측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 최신호에 발표했다. 백색왜성은 태양 질량의 10배를 ... ...
印 달 탐사선 '찬드라얀 2호'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착륙선과의 통신을 담당할 장비와 과학 임무를 수행할 8개의 탑재체를 태운다. 달 표면을
광학
카메라와 X선 분광기, 적외선 분광기를 통해 분석하고 합성개구레이더(SAR)로 달의 극지방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얼음을 탐사한다. 달의 외기와 이온층을 분석하고 태양에서 날아오는 X선을 분석할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