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optics
기하광학
기하
물리광학
물리
뉴스
"
광학
"(으)로 총 1,098건 검색되었습니다.
실종자 찾는 AI 무장 드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정확도를 높였다. 연구진은 “높은 곳에서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는 고성능
광학
카메라와 열을 감지하는 센서가 탑재됐다”며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나 길을 잃은 사람들, 재난재해 때 실종자 등을 빠르게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드론이 운용될 경우 시민들의 ... ...
양자암호 위성통신·우주 태양광…쎄트렉 신화 이어줄 미래 위성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9.10.31
물리학과 교수는 과학기술위성 1호의 관측 결과를, 김영진 기계공학과 교수가 초고속
광학
기술의 차세대 인공위성 탑재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최원호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는 한국의 전기추력 연구개발 현황을 소개했다.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한국의 우주개발 역량이 걸음마 수준이던 198 ... ...
빛-물질 성질 가진 입자, 상온서 조절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왼쪽)와 송현규 연구원. KAIST 제공 빛과 물질의 성질을 동시에 지니는 입자를 상온에서 만들고 제어할 방법이 ... 작동되는 다양한 양자 광소자로 활용되도록 지속적으로 연구하겠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광학
분야 국제학술지 ‘옵티카’ 20일자에 발표됐다. ... ...
이화여대 연구팀 "세계최고 해상도 '고채도 구조색' 구현"
연합뉴스
l
2019.10.25
오묘한 색도 그런 예다. 구조색은 화학적 물성이 아니라 기하학적 구조 배치에 따른
광학
적 성질을 바탕으로 색을 내는 것이어서, 화학적으로 유해한 안료와 염료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가시광선 영역에서 구조색을 내려면 그 구조체가 수백 나노미터 수준인 가시광선 파장과 비견할만한 ... ...
'독도의 날'맞아 아리랑위성3호와 3A호가 하늘에서 본 독도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9.10.24
독도 위성사진이다. 항우연 제공 아리랑위성 3호는 지난 6월 20일 70cm급 해상도의 전자
광학
카메라를 이용해 여름 독도의 모습을 촬영했다. 아리랑위성 3호는 2012년 5월 18일 일본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 지구상공 685㎞를 하루에 14바퀴씩 돌며 지상을 관찰한다. 서울과 제주도보다 먼 ... ...
한국 인공위성 산파 역할 'KAIST 인공위성연구소', 개소 30주년 맞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3
교수가 과학기술위성 1호의 관측 결과를 발표하고, 김영진 기계공학과 교수가 초고속
광학
기술의 차세대 인공위성 탑재 방안에 대해 발표한다. 최원호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는 한국의 전기추력 연구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KAIST 인공위성연구소 개소 30주년 기념 워크숍 프로그램. KAIST ... ...
전파 대신 '빛' 이용한 위성 통신 가까워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2
추출해 하나의 파장이 대기 환경 변화에 따라 겪는 변화를 실시간으로 추적했다. 그 뒤
광학
장치를 이용해 대기 환경 변화를 제어해 레이저가 특성을 잃지 않도록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안정적인 펨토초 레이저 광빗을 대전 유성구 KAIST에 만든 뒤 18km 떨어진 계적산까지 쏘아 보내고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
2019.10.17
않은 1546년 덴마크에서 위대한 천문학자가 태어났다. 그 이름은 티코 브라헤다. 브라헤는
광학
기기의 도움 없이 맨눈으로 밤하늘을 관측한 최후 세대의 과학자였다. 브라헤는 맨눈으로 하늘을 관측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타고 났다. 시력이 너무 좋았다. 일설에 따르면 1킬로미터 밖에서 동전이 50 ... ...
韓-美 첫 코로나 관측 성공..."우리의 실력 NASA에 각인시켰죠"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말했다. 미국은 원하는 목표 지점을 허공에서 정확히 조준하는 조준 시스템과
광학
부품을 맡았다. 두 기관이 각각 개발한 부품은 올여름 통합됐다. 이후 천문연 소프트웨어 과학자들이 소프트웨어 검증 시험을 반복한 끝에 8월 말 장비가 완성됐다. 공동연구팀은 곧바로 기구를 띄우기 위한 ... ...
지구 충돌 막아라… 적외선 망원경으로 소행성 감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소행성의 75%를 차지하는 탄소질 소행성은 빛 반사율이 2% 미만으로 어둡기 때문이다.
광학
망원경으로는 쉽게 포착하기 어려워 파장이 긴 열복사를 활용한 적외선 망원경으로 확인할 수밖에 없다.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은 “작은 소행성이더라도 빛 반사도가 높으면 밝게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