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경"(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질문_배아를 알록달록 물들인다?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세포들, 예를 들어 근육세포, 신경세포, 피부세포를 보면 생김새와 기능이 모두 다릅니다. 신기하게도 이런 세포들은 모두 똑같은 유전물질을 갖고 있는데요. 그럼에도 이렇게 다를 수 있는 이유는 다양한 세포들이 서로 다른 유전자를 ... ...
- [DGIST] 눈앞에 ‘뙇’ 증강현실 수술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만들었다. 가령, AR 기능을 갖춘 태블릿PC로 환자의 가슴팍을 비추면 내부의 심장, 혈관, 신경, 갈비뼈 등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게임과 달리 의료 분야의 AR기술은 매우 높은 정확도가 요구된다. 생명을 다루는 만큼 작은 오차도 자칫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 ...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뇌는 하나의 특징으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브루스 얀크너 미국 하버드대 의대 신경과학과 교수는 나이에 따른 뇌의 특징을 정의하기 위해 청년, 중년, 노인의 뇌를 MRI로 분석해 2004년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여기서 청년은 40세 미만, 중년은 40~70세, 노인은 71세 이상으로 정했다 ... ...
- 만화 찢고 꺼낸 수학 만.찢.수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비결은 컴퓨터과학자 이안 굿펠로우가 2014년 처음으로 제안한 ‘생성적 적대신경망(GAN)’입니다. 굿펠로우는 GAN의 원리를 지폐 위조범과 경찰의 대결로 설명합니다. 위조범은 가짜 지폐를 진짜처럼 만듭니다. 경찰은 처음엔 속겠지만 결국엔 가짜와 진짜를 구별해내려고 하죠. 서로 견제하는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마음은 정말 가슴에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옥스퍼드 대학교 토머스 윌리스 교수가 뇌의 세부 구조를 분석하기 시작하면서 비로소 ‘신경학’이라는 학문이 등장했지요. 이후 서서히 뇌가 감정을 느끼고 생각하는 기관이란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가설3 마음은 송과선에서 몸과 만난다?! 17세기 프랑스 철학자 데카르트는 마음이 물질이 ... ...
- 독성물질 보툴리눔, 염기서열 분석 의무화 해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Clostridium botulinum, 이하 보툴리눔) 균의 체내에서 생성되는 신경 독성 단백질, 보툴리눔 독소를 희석시킨 의약품이다. 보톡스라는 이름은 글로벌 제약회사인 ‘엘러간’의 상품명이다. 보톡스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보툴리눔 독소를 만들어내는 보툴리눔 균을 반드시 가지고 ... ...
- [Issue] 중국이 옮길 혁신이라는 산(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인재 영입, 아낌없는 재정 지원, 혁신 전략 등을 꼽았다. 안나 왕 로이 중국 저장대 신경과학연구소장은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정부는 한 번 결정하면 전력을 다해 추진하고, 성과가 나오기까지 오래 걸리더라도 지속적으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1억 배 빠른 컴퓨터, 독자 GPS 확보 ... ...
- 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위험한 행동을 하도록 만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에바 텔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신경과학과 교수는 “사춘기와 10대를 떠올리면 대부분 부정적인 생각부터 먼저 하지만 이 자체가 고정관념”이라며 “사춘기 청소년은 성인으로서의 사회적 역할과 책무를 다할 수 있는 상태로 성장하고 있는 ...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중개 역할을 하는 수십 개의 신경전달물질이 규명됐다. 이유 없는 반항을 유발하는 신경전달물질은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이다. 세로토닌은 주로 청소년에게 자살 충동을 느끼게 하거나 우울증상과 강박증상을 유발한다. 도파민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 ...
- [Origin] 피 한방울 이즈 베리 임폴턴트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뇌 세포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 핵심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베타아밀로이드가 침착되면 신경세포가 점차 손상되면서 인지 기능이 저하된다. 묵인희 서울대 의대 생화학교실 교수와 이동영 서울대 의대 정신과학교실 교수 공동연구팀은 혈액으로 뇌의 베타아밀로이드 침착을 예측할 수 있는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