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경"(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법(협력필터 기술)과 개인의 텍스트 콘텐츠 소비 유형을 분석해 예측하는 인공신경망 기술(RNN·사용자의 패턴을 인식하는 인공지능)이다. 최재호 네이버 에어스팀 리더는 “내가 읽은 기사와 관련이 있는 다른 분야의 기사를 직접 찾으려면 수 분 걸리지만, 에어스 기술은 수 초 만에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가능한 다른 이온채널들의 개발이 이뤄지고 있고, 광유전학 기법을 이용해 뇌 영역과 신경회로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병이나 특정 행동의 원인을 밝히고, 나아가 빛을 이용해 난치성 질병을 치료하는 미래를 위해 과학자들은 지금 이순간에도 쉼 없이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심장 외에도 세포 자멸이 꼭 필요한 기관 중 하나가 바로 뇌입니다. 신경세포는 다른 신경세포들로부터 자극을 받고 전달하기 위해 짧은 수상돌기(dendrites)와 긴 축삭돌기(axon)를 뻗어내는데요. 발달 과정 중에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기 때문에 이를 가지를 치듯 잘라낼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서 ... ...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959개 정도랍니다. 그 중에서 신경 세포는 302개뿐이지요. 세포 수가 적은 탓에 이미 1986년, 신경 세포간의 연결 상태를 지도처럼 나타낸 ‘커넥톰’이 모두 밝혀졌답니다. 2011년, 미국의 AI 연구자 ‘티모시 버스비스’는 ‘오픈웜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이 프로젝트는 앞서 밝혀진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70점으로 올라갔습니다.’스마트 워치에 문구가 떴다. 시은이 팔에 심어둔 전극이 신경을 통해 상태를 파악한 결과다. 2030년에도 엄마에게 부여된 임무는 여전히 많다. 훌륭한 엄마이자, 내조를 잘하는 아내, 양가 부모님께 효도하는 주체가 돼야 한다. 달라진 점이 있다면 그나마 몸은 편해졌다는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자동으로 천장으로 빠져나가게끔 수장고를 설계했다. 환기는 부재를 보관할 때 가장 신경을 쓰는 부분이다. 수분이 목재에 점착되고 마르는 과정에서 목재가 뒤틀리고, 균이 번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분은 철재의 부식을 빠르게 하기도 한다. 또 습한 환경에서는 보존처리가 완료된 부재의 ... ...
- 수학으로 완성한 감성 게임, 더뮤지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느낄 수 있습니다.” 더뮤지션의 타이틀 화면에 처음 등장하는 문구다. 음악 품질에 신경을 썼다는 자신감이 엿보인다. 더뮤지션은 평범한 모바일 게임에서는 쉽게 들을 수 없는 풍부한 소리를 들려준다. PC가 아닌 모바일 게임에서 이 정도 음질을 재현하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더뮤지션은 손으로 ... ...
- Part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머리에 뉴럴 레이스를 넣으면 뇌 안에서 넓게 그물처럼 펼쳐져요. 그러면 이 그물이 뇌의 신경 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하고, 반대로 컴퓨터의 전기신호를 뇌로 전달할 수도 있어요. 쉽게 말해 머릿속 정보를 컴퓨터로 다운로드 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뇌로 업로드할 수 있는 장치랍니다. 이런 트위터를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 로봇, 진짜 벌처럼 윙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뉴로모픽 칩’을 로보비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요. 뉴로모픽 칩은 뇌의 신경세포들이 정보를 주고받는 방법을 모방해서 만든 반도체예요. 실제 사람의 뇌처럼 적은 에너지로 수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지요. 또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이 있어서 다양한 비행 상황을 자율적으로 익힐 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인기 있는 실험 생물 중 하나. 2014년 6월 미국의 ‘티모시 버스비스’가 이 선충의 신경세포로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었다. (특집 ‘호모 사이보그’ 참조)④ 양성자와 중성자를 이루는 아주 작은 입자. (통합과학 교과서 참조)⑤ 태양계의 4번째 행성이며, 붉은 색을 띤다. (냥이 대장의 별별 천문대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