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별세포 활성 떨어지면 운동 능력은 향상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4월 24일자에 발표했다. 별세포는 주로
신경
세포의 이온농도를 조절하거나 노폐물을 제거한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별세포가 소뇌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먼저 쥐에게 저해제를 먹이거나 유전자를 조작해 별세포 활성도를 ... ...
Part 1. 가자, 러시아로!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축구 경기를 하기에 좋은 날씨지! 그나저나 베이스캠프에서 경기장까지의 거리도
신경
쓰이는군. 이동 시간이 길면 선수들의 컨디션에 영향을 주니까 말이야. 비행기에서 내리기 전에 대표팀의 경기 일정과 장소를 검토해 보자. 첫 경기는 6월 18일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열리는 스웨덴과의 ...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대표적입니다. 팔과 전자 의수가 닿는 부위에 전극 조각을 여러 개 붙이고, 전극으로 운동
신경
세포가 만들어내는 근전도 신호를 측정해 전자 의수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신체에서 나오는 근전도 신호는 워낙 미약하기 때문에 무기로 쓰일 힘을 내기에는 역부족이겠지만요. 영화 속 장갑형 ... ...
[Issue] 애증의 잠, 잘 자려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부족해서 생기는 병인데요, 더 정확하게는 하이포크레틴을 만드는 뇌 시상하부의
신경
세포체가 정상인보다 현격히 부족합니다. 사실 기면증은 건강을 꾸준히 관리해 면역력을 높이고 일정한 시간에 충분히 자는 것 외에는 예방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없습니다. 다만 발병 초기에는 우리 몸의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수 있다. V2X 기술의 관건은 얼마나 빨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느냐는 점이다. 사람의 반사
신경
이 작동하는 시간은 10ms(밀리초 ·1ms는 1000분의 1초) 이내다. 즉 자율주행자동차 역시 10ms 내에 사고 가능성이 있는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받아야 사고를 막을 수 있다. 현재로서는 이 시간 안에 정보를 받는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시스템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제어하는지에만 관심을 가졌을 뿐 보안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았다. 하지만 2010년 이란 원자력발전소가 해킹돼 핵연료를 만드는 원심분리기가 오작동을 일으킨 ‘스턱스넷 사건’이 발생하는 등 크고 작은 이슈가 등장하면서 제어 시스템의 보안 기술에 관심이 ... ...
[가상인터뷰] 딱따구리도 뇌 손상을 입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거야? 딱따구리: 연구를 이끈 피터 커밍스 교수는 “딱따구리는 타우 단백질이 쌓여도
신경
이 마비되지 않도록 진화했을 수 있다”며, “그럴 경우 딱따구리에서 뇌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FIFA 세계 랭킹에 숨은 모든 것!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점수를 받는 지극히 단순한 지표였습니다. 결국 많은 축구팬은 FIFA 세계 랭킹을 별로
신경
쓰지 않게 됐습니다. 결국 1999년 FIFA는 점수 체계를 대대적으로 뜯어 고칩니다. 경기 결과에 따라 일괄적으로 매기던 승점이 사라지고, 대신 랭킹이 높은 팀에게 승리하면 가중치를 줬습니다. 또 상대보다 ... ...
[Culture] 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상용화됐다. 이 기술의 핵심은 사람의
신경
망을 모방해 스스로 언어를 학습하는 인공
신경
망이다. 김 책임연구원은 “이 AI가 새로운 언어를 학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3일 정도”라고 말했다. 말랑말랑지니톡 앱은 자동통역 기술도 탑재했다. 올해 2월 평창 동계올림픽이 열린 강릉과 평창에서는 ... ...
[과학뉴스] ‘치매 단백질’ 연결고리 최초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탄소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분석을 통해 알츠하이머 환자의 타우 단백질 증가가 단순한
신경
세포 사멸의 부산물이 아니라, 치매를 발병시킬 수 있는 능동적 과정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알츠하이머 환자 24명을 분석해 베타아밀로이드의 양이 늘어나면 타우 단백질도 늘어난다는 사실을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