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4. 디지털 한류 이끄는 '별의 전사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융합시키는 것이다. 현재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학제의 전면적인 개편보다는 학생들이
대학
에 입학했을 때 배워야 할 과목을 바꾸기만 하면 된다. 수리과학 영재를 양성한다는 현행 취지 대신 과학기술인상과 창조적 예술가상을 모두 추구하도록 전환하면 된다.이 해결책의 장점은 학생들이 본래 ... ...
과학 대중화에 뛰어든 블랙홀 박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아마추어 천문인 10만양병설박 원장은
대학
시절 아마추어 천문학 활동도 즐겼다.
대학
때 후배들과 함께 망원경을 들고 산으로 가 천체를 관측하며 밤을 새우기 일쑤였다. 우주 이야기에 밤새는 줄 몰랐으니까. 그의 노력 덕분에 1979년에는 ‘제1회 한일 친선 별 관측대회’가 4박 5일 일정으로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러시아의 페테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 수학교수로 8년간 재직하고 스위스로 돌아와 바젤
대학
의 해부학 · 식물학 · 물리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그 후에는 프랑스의 파리 학사원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영국의 물리학자이며 화학자인 J F 다니엘이 1820년에 고안한 노점습도계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 ...
철새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1호
자세히 알아보도록 해요. 조류독감어과동조류독감에 대한 궁금증을 풀기 위해 고려
대학
교 구로병원 감염내과의 김우주 교수님을 찾았어요. 김우주 교수님은 조류독감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고 계시는 전문가예요.Q 교수님, 우선 독감(인플루엔자)에 대해서 우리 친구들이 알기 쉽게 설명 좀 해 ... ...
과학은 최고의 명탐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않나요?수사 수첩 1변사체가 발견되었다!자살일까, 타살일까?저명한 의사이자
대학
교수인 강 박사. 그는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할 만한 의료기술을 한창 연구 중이다. 그가 연구 결과를 언제 발표할지 모든 이가 궁금해하는 가운데 그의 집에서 끔찍한 일이 발생했다. 바로 강 박사가 그의 서재에서 ... ...
우리 엄마, 누나, 언니도 발명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발명품이 눈에 띄었어요. 숙명여자
대학
교 발명동아리‘엉뚱한 사람들’이랍니다. 전국
대학
발명동아리 경진대회에서 4년 연속상을 받는 등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고 해요. 엉뚱한 생각에 여성 특유의 섬세함을 더해 생활의 불편한 점을 발견해 내고 더 편한 세상으로 바꾸고 있답니다. 엉뚱한 ... ...
아주 특별한 숫자 1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값)지. π의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 몇 천 년 동안 수학자들의 노력이 이어졌고 2002년 도쿄
대학
교에서는 슈퍼컴퓨터를 이용해서 소수점 아래 1조 2400억 자리까지 계산해 냈어. 정말 대단하지? 독일의 수학자 루돌프는 전 생애를 π값 구하는 데 바쳤다고 하니 우리 친구들도 π값을 구하는 데 도전해 ... ...
아름다운 15일 간의 우주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때문이죠. 1979년 공군비행사가 되었던 아일린 콜린스 선장은 스탠퍼드
대학
교와 웹스터
대학
교에서 우주시스템관리 석사학위를 받고 1989년 공군시험비행학교에서 우주비행사의 꿈을 키웠지요. 공교롭게도 이번 디스커버리호가 착륙한 에드워즈공군기지는 아일린 콜린스 선장이 학창시절을 보낸 ... ...
우리를 위협하는 기상현상 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가까운 미래에 과연 지구온난화로 인한 슈퍼 태풍이 등장하게 될지 알아보기 위해 연세
대학
교 대기과학과 홍성유 교수님을 만나 보자.태풍을 주무르는 손은 바로 나!우리나라가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 아래에 있으면 저기압인 태풍은 중국으로 빠져 나가요. 반대로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 ...
동화처럼 읽는 이상한 나라의 아인슈타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있으면서 나와 함께 일반상대성이론을 만들기 위한 공동 작업을 했단다. 마찬가지로
대학
동창이었던 베소는 나의 생각을 가장 잘 이해해 주는 친구였어. 나는 그와 토론하는 도중에도 많은 영감을 얻을 수 있었지. 내가 상대성이론에 대한 아이디어를 처음으로 이야기한 상대도 바로 베소야 ... ...
이전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