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독개구리 '독'(毒)의 비밀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지금까지 독개구리가 어떻게 몸 안에서 독을 만드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미국 코넬대
대학
원생인 발레리 클락씨는 마다가스카와 중남미에 사는 개구리들의 독을 조사한 결과 “이들이 개미를 비롯한 벌레를 먹어 독을 얻는다”고 최근 밝혔다. 이 연구는 미국과학원회보(PNAS)에 실렸다.클락씨는 ... ...
불에 탄 피부를 되살리는 태아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세포를 이용해 심한 화상 환자의 피부를 재생할 수 있게 됐다.스위스 로잔
대학
병원의 패트릭 홀펠드 박사는 3도 화상을 입은 어린이 환자 8명에게 태아의 세포를 이식한 결과 놀라운 치료 효과를 거뒀다고 ‘란셋’ 8월호에 밝혔다. 태아세포는 14주만에 유산된 태아에서 얻은 것으로 윤리적인 ... ...
3. '몸치' 탈출 특급 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일종의 모방인 춤을 배우기에 뇌회로 이상은 치명적이다.이와 관련해 영국 런던
대학
인지신경과학연구소의 패트릭 해거드 박사가 발레 댄서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는 눈길을 끈다. 춤과 같은 어떤 숙련된 몸동작을 바라볼 때 그 몸동작에 익숙한 사람과 문외한인 사람의 뇌반응이 다르다는 것 ... ...
산업의 쌀을 빻는 방앗간 지기 - (주)주성엔지니어링 대표이사 황.철.주.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황사장은 인하대 전자공학과 편입을 결심했다.이렇게 학업과 취업을 반복하며 간신히
대학
을 마친 그는 더 이상 친구의 꾐(?)에 잘 넘어가는 마음 약한 ‘샌님’이 아니었다. 현대전자에 입사했다가 8개월 만에 사표를 던졌다. 그리고 ASM이라는 네덜란드계 외국인 회사에 취직했다. 그것도 영업 ... ...
이공계를 선택하면 행복해집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더 깊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모바일인터넷학과, 마이크로로봇학과, 음향공학과 등 최근
대학
마다 톡톡 튀는 학과가 많이 개설됐다. 국내에 개설된 이공계 이색 학과 14곳이 실려 있어 해당 분야에 관심 있는 청소년에게 실속 있는 정보를 준다. 중위권 학생들에게 특히 유용하다.이공계 학과에 가면 ... ...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작성하게 한다는 두가지 목표를 가지고 설계된 프로그래밍 언어 1968년 스위스 쮜리히공과
대학
의 N워스교수가 개발했다 파스칼은 배열 레코드 파일 등 풍부한 데이터구조를 가지고 있어 프로그래머 자신이 데이터형을 정의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조건문 등 제어구조가 명쾌하여 SP(structural ... ...
5. 춤을 위한 테크노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한
대학
강의실의 휴식시간. 요즘 유행하는 레게머리를 한 여학생이 두 손에 뜨거운 테이크아웃 커피컵을 들고 나타난다. 미국의 랩가수 MC 해머의 `‘U Can`t Touch This`’에 맞춰 문워커 춤과 힙합 댄스 스타일로 몸을 흔든다. 이 때 걸려오는 전화 한 통. 주인공은 귀를 가볍게 어깨에 부딪혀 전화를 ... ...
뇌의 미로에서 출구를 찾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뇌를 움직이는 데는 어머니의 영향도 있다. 내년이면 여든 살인 어머니는 지금도 주부
대학
에서 한국무용을 배우고, 서예와 요가까지 섭렵하는 정력가다. 뇌 박사인 그보다 훨씬 더 적극적으로 뇌를 돌보는 셈.네이처보다 너처가 중요“타고난 것(nature)보다는 노력으로 얻는 것(nurture)이 훨씬 큽니다 ... ...
너는 발명해라 나는 논문쓸테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던진’ 것은 비단 캠프에 참가한 학생들만이 아니다. 과학 동아리 ‘라퓨타’(LAFUTA) 소속
대학
생 26명이 24시간 학생들과 함께 지내며 캠프 활동을 도왔다. 세계 최초 손가락 마우스 개발자(김진산, 충남대 전기정보통신공학부 1년), 세계 최초 3차원 레이저 시스템 개발자(서순명, 충남대 ... ...
단백질의 세계에 빠~져 봅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9호
76년 서울
대학
교 미생물학과 졸업.1981년 미국 버클리
대학
교 미생물학 박사.1981년-1985년 MIT
대학
원 박사후 연구원.1985년-1999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2001년-2002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단백질긴장상태연구단 단장.2002년-현재 과학기술부 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단장 ... ...
이전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