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 물고기 로피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수중 기뢰를 탐지하는등 로봇물고기를 주로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해군이
대학
, 연구소등에막대한예산을지원하고있다.일본에서는 1999년 미쓰비시가 수족관에 전시할 목적으로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는 실러캔스를 4억년 전 모습과 똑같이 재현했다. 제작기간만 4년, 비용은 10 ... ...
특집1. 당은 비만의 주범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사람들이 식품을 섭취하는 패턴이 달라지면서 만성질환의 발병 양상이 함께 변하고 있다. 따라서 식품의 생산과 마케팅 방법도 달라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당(糖)이다. 많은 사람들이 단맛을 내는 성분인 당류가 비만을 일으키는 주범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비만이 급증하 ... ...
생명의 기원을 명강의로 푸는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습관이 중요합니다.”김 교수가 스스로 가장 자랑스러워하는 시절은 고등학교 졸업과
대학
입학 때.“3학년에 들어서자 목표를 세우고 도전했습니다. 1년동안 열심히 하니까 어느새 목표가 달성됐더군요.”그는 경기고 졸업생 480명 중에서 금메달을 받고 졸업했다. 금메달은 수석을 뜻한다. 또 ... ...
반도체 칩 위의 건축가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높이 평가받았다.신 교수는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2000년 박사학위까지 모두 동
대학
원에서 받은 토종 국내파 엔지니어다. 2001년부터 IBM 왓슨연구소에서 근무할 때 많은 아이디어를 얻었다.초고집적 SoC 개발을 위한 설계 시스템 개발이나 최고 논문상을 안겨 준 마스크 재사용 기법도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과정을 수료하고 스위스의 바젤 면역학 연구소 주임연구원, 81년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
대학
교수가 되었다86년에 전미국 과학아카데미 외국인 회원이 되었으며 면역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로 87년 노벨 생리 · 의학상을 수상했다가을 초저녁에 북쪽 하늘 높이 엷게 내(川)를 이루는 별자리 천구상 ... ...
언어는'웨' 바뀌는가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전자사전이나 자동번역 프로그램 개발에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서울대를 비롯한 각
대학
에서는 전산언어학, 언어정보처리 등 컴퓨터와 공학적 이론을 접목해 언어학을 연구하는 과목을 개설하면서 디지털 언어 연구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 ...
2007년 4월 꿈은 이루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머무는 동안 해야할 과학실험. 우주인선발위원회 산하 임무개발소위원회는 국내 각
대학
과 연구소가 제안한 실험 가운데 약 10가지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여기엔 무중력상태에서도 우주저울로 질량을 측정하거나 식물 씨앗이나 새우 알을 부화하는 등의 임무가 포함되며 민간기업을 홍보하기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월드’ 등 천문 연재물도 큰 인기를 끌었다.과학동아는 1990년대 중반부터 이공계
대학
을 나온 젊은이들을 본격적으로 전문기자로 양성했다. 이들은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과학이론이나 기술을 활발하게 알렸다. 특히 ‘현대 물리학의 혁명, 카오스이론’(1994.1)과 ‘가상현실의 세계’(1994.2)는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러시아의 페테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 수학교수로 8년간 재직하고 스위스로 돌아와 바젤
대학
의 해부학 · 식물학 · 물리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그 후에는 프랑스의 파리 학사원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영국의 물리학자이며 화학자인 J F 다니엘이 1820년에 고안한 노점습도계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 ...
5. 나랏말씀이 두뇌에 좋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중국에는 한국어학과가 개설된
대학
이 27개로 학생 수는 3942명이나 된다. 일본에는 7개
대학
에만 한국어학과가 개설돼 있지만 일본 청소년들이 한국에 관심을 많이 가지면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고등학교가 247개로 늘었다. 그 어느 때보다 지금 한국어는 세대 공감을 넘어 ‘세계 공감’을 얻고 있다. ... ...
이전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