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뉴스
"
전자
"(으)로 총 7,734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에 이어폰만 꽂으면 스피커 22개 음질이
과학동아
l
2014.07.28
들을 수 있기 때문에 고가의 스피커 장치 없이도 풍부한 음향을 들을 수 있다.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ETRI)은 연세대 및 음향전문기업 윌러스표준연구소와 공동으로 차세대 방송환경에서 다채널(22.2) 오디오 컨텐츠를 스마트폰과 헤드폰으로 재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섭취하는 게 어떻게 뇌전증 발작을 줄이는지는 아직 정확히 모르지만 뇌전증 관련 유
전자
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필자가 다소 장황하게 ‘네이처’의 뇌전증 특집을 소개한 건 이 질환을 앓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을 뿐 아니라 수천 년에 걸친 편견으로 일반인 뿐 아니라 ... ...
‘소금 이불’ 덮고 자는 대장균
과학동아
l
2014.07.28
스페인 발라돌리드-CSIC대 교수는 대장균이 소금물을 이용해 만든 얇은 필름을 주사
전자
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를 ‘우주생물학’지 11일자에 발표했다. 또 연구팀은 대장균이 이 필름 아래서 조용히 수면을 취한다는 것도 알았다. 필름이 대장균의 ‘이불’ 역할을 한 셈이다. 대장균이 만든 ... ...
게코 도마뱀, 천장에 붙는걸 보고…
과학동아
l
2014.07.23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옷이나 피부에 부착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만들려면
전자
소자를 원하는 곳에 뗐다 붙일 수 있도록 처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여러 가지 접착제가 개발됐지만 고온고압의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했다. 연구진은 게코 도마뱀이 벽이나 천장 등에 ... ...
[사이언스 브리핑] 2014년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外
과학동아
l
2014.07.22
‘미생물을 이용한 가솔린 생산기술’을 포함해 기계소재, 생명해양, 에너지환경, 정보
전자
, 순수기초 인프라 등 분야별 우수성과 90선과 후속연구 4선, 기술이전·창업 우수기관 6개 등이 선정됐다. 이들은 지난해 정부 지원을 받은 5만 여개 연구개발과제 가운데 각 부처에서 추천한 523건을 대상으로 ... ...
[브리지스 서울 2014] 한옥 지붕에도 수학 있다
과학동아
l
2014.07.18
12제곱근의 4승이다. 또 12 자리에 어떤 수를 넣느냐에 따라 독특한 음이 나온다. 이것이
전자
음의 원리다. 장재호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테크놀로지과 교수도 이를 활용한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알고리즘을 만들어 작곡을 해오고 있다. 지금까지 ‘훈민정악’ ‘게임 오버’ 등 20여 곡을 ... ...
휙휙 달리고, 끼이익 서고 무인자동차 나가신다
과학동아
l
2014.07.17
위해선 당연한 과제”라고 덧붙였다. 패자부활전에서 아쉽게 탈락한 장병준(대전대 IT
전자
공학과 4학년) 씨는 “검은색 차선과 흰색 도로를 자동차가 카메라로 인식해야 하는데 그림자 등의 잡음 때문에 코스를 이탈한 것 같다”고 아쉬움을 털어놓았다. 약 50m에 이르는 결승전 코스. ... ...
이런 게 ‘일석이조 다이오드’
과학동아
l
2014.07.16
전압이 커진다고 해서 저항이 계속 커지진 않았다. 전압이 4V를 넘어서면 에너지가 큰
전자
들이 RGO의 산소 장벽을 그대로 뚫고 나가 RGO 표면에 있는 물을 수소로 전기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 교수는 “다이오드 하나로 원하는 대로 저항을 조절해 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치’ 역할을 할 수 ... ...
스마트폰 3년 써도 배터리는 처음처럼?
과학동아
l
2014.07.15
같은 신개념 배터리 제조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스마트폰 같은 소형
전자
기기의 수명 연장은 물론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용량 증대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찬진 전남대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장기간 사용해도 성능 저하가 거의 없고 전기 저장용량도 큰 ... ...
존 벨, 아인슈타인과 보어가 발견하지 못했던 것을 발견한 물리학자
2014.07.14
않다는 것. 1969년 미국 버클리대의 실험물리학자 존 클로저는 동료들과 함께
전자
의 스핀 대신 광자(빛)의 편광이라는 특성을 이용해서 벨의 사고실험을 실제실험으로 구현했고 1972년 측정결과가 양자역학의 해석에 가깝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리고 1981년과 1982년 프랑스 파리스드대 이론 ... ...
이전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