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뉴스
"
전자
"(으)로 총 7,734건 검색되었습니다.
튜링 테스트 통과한 ‘유진 구스트만’과 대화해보니
과학동아
l
2014.06.13
퀴즈만큼은 세계 최고 수준인 셈이다. 국내에서도 비슷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ETRI)은 지난해부터 ‘엑소브레인(Exobrain)’ 프로젝트를 통해 퀴즈에 답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연구 중이다. 언어를 듣고 문법에 따라 단어의 뜻을 추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유진보다 ... ...
전자
피부에서 접는 디스플레이까지
과학동아
l
2014.06.13
선정하고 2020년까지 매년 100억 원을 집중 투자하고 있다. 조 단장은 “기존의
전자
기기를 소프트한 형태로 바꾸고 신체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면 완전히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이라며 “몇 년 안에 소프트혁명의 초기 결과물을 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안전하고 유연한 생체연료전지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2
저렴하고 다루기 쉬운 포도당으로 바꾼 연료전지를 말한다. 포도당 산화 시 생성되는
전자
를 수집해 전기를 만들기 때문에 상온에서도 구동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라 미래 에너지 공급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촉매를 표면에 코팅하는 기존의 평판 전극형 생체연료전지는 낮은 전력 효율과 ... ...
[포토뉴스] 우주에서 포착한 월드컵 경기장
과학동아
l
2014.06.11
2006년과 2012년 각각 발사된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2호’와 ‘아리랑 3호’가 고해상도
전자
광학카메라로 우주에서 촬영한 브라질 월드컵 경기장 3곳의 위성사진을 11일 공개했다. 이 3곳에서 우리나라의 예선전 3경기가 열리게 된다. 홍명보호는 18일 쿠이아바 판타나우 경기장에서 러시아와 ... ...
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제올라이트
과학동아
l
2014.06.11
그 뒤 연구팀은 포항가속기연구소에서 PST-6에 대한 X-선 회절 데이터 분석과 투과
전자
현미경 관찰, 컴퓨터 모델링 등을 실시해 구조 결정에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PST-6가 36개의 서로 다른 사배위 자리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홍 교수는 “PST-6는 서로 다른 크기의 두 세공 ... ...
UHD TV 주파수 부족 해소 기술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0
디지털 TV 방송의 주파수 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ETRI)은 이같은 ‘차세대 케이블 전송기술’을 개발하고, 10일 오전 CJ헬로비전과 공동으로 서울 양천구 목동 지역 방송망을 통해 시연을 진행하는데 성공했다. ETRI는 휴대전화 ... ...
색깔 변하는 유리창, 초간단 제작 기술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0
없이도 산화-환원 반응이 수행돼 전기변색성이 안정적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또
전자
전달을 매개하던 전해질의 역할을 양자점이 대신함으로써 소자의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80도 이상의 고온이나 휘어진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는 사실을 ... ...
그래핀 한 번에 코팅하는 법
과학동아
l
2014.06.10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교수 - 고려대 공과대학 제공 2차원 탄소결정구조인 그래핀은
전자
이동 속도가 실리콘 반도체보다 10배 이상 빠르고 다양한 전기적․열적 특징을 갖고 있어 ‘꿈의 소재로’로 불린다. 하지만 이 그래핀을 최근 각광 받는 웨어러블 기기나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에 ... ...
헉! 원통형이라던 탄소나노튜브가 나선형이라니
과학동아
l
2014.06.09
제어할 수 없었던 이유는 구조상 결함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탄소나노튜브로는
전자
소재를 만들 수 없다”고 설명했다. 대신 그는 “원통형일 때는 90도 이상 구부러질 수 없지만 나선형은 좀 더 자유로운 가공이 가능하다”며 “고강도 복합소재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 ...
점심시간 맛집 앞엔 긴 줄이…기다려, 말어?
과학동아
l
2014.06.09
좋을까. CJ푸드빌 제공 최근 데이비드 레디쉬 미국 미네소타대 신경과학과 교수는
전자
를 택하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이라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먹고 싶은 것을 먹어야 후회가 남지 않는다는 것이다. 레디쉬 교수 연구팀은 쥐를 이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우선 ... ...
이전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