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뉴스
"
전자
"(으)로 총 7,734건 검색되었습니다.
총천연색 AMOLED 대량 생산 비법
2014.08.25
삼성
전자
제공 미래창조과학부는 성균관대와 AP시스템이 ‘차세대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대량생산 기술’에 대한 특허권 통상실시 기술이전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기술이전 대가는 정액기술료 15억 원을 2015년까지 납부하는 조건이다. 저온 실리콘 결정화는 AMOLED 패널 ... ...
반도체 두께가 겨우 원자 몇 개?
2014.08.24
몇 개 수준으로 줄이는 데도 성공했다. 이 교수는 “이번 향후 초고속‧고효율 광
전자
소자 개발 및 신개념 투명 유연소자 응용 연구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네이처 나노네크놀로지’ 11일자에 실렸다. ... ...
차세대 로켓 엔진 승자는?
2014.08.22
수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전자
기파엔진의 성공 여부에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전자
기파를 바깥으로 배출하는 대신에 특수한 형태로 만든 엔진 내부에서 충돌시키는 것만으로 추력을 얻는다는 원리가 물리학적 상식과 어긋나기 때문이다. 김상욱 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는 “외부에서 ... ...
유리 투명전극을 LED에?
2014.08.20
조명과 광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돌파구를 찾았다. 김태근 고려대 전기
전자
공학부 교수팀은 유리 투명전극 기술을 발광다이오드(LED)에 적용하는 데 성공하고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7월 25일자에 발표했다. 전극을 위아래로 배치한 대면적 수직형 LED의 효율을 ... ...
암 유전체 분석하는 슈퍼컴 ‘마하’
2014.08.20
슈퍼컴 '마하' 시스템을 이용해 유전체를 분석하고 있다. - ETRI 제공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ETRI)는 독자 개발한 바이오 특화형 슈퍼컴퓨팅시스템 ‘마하(MAHA)’가 국제암유전체컨소시엄(ICGC)에 유전체 분석 데이터센터로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세계 항암제 시장은 약 80조 원에 이르는데, 이중 6 ... ...
암 진단과 치료를 한 번에
2014.08.19
결과 PET 영상에 암세포의 크기와 위치가 뚜렷이 나타났다. 암세포에 몰려든 구리-64가 양
전자
를 방출했기 때문이다. 구리-64로 암 진단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원자력의학원에 있는 사이클로트론을 이용해 구리-64를 대량생산하는 기술을 보유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일어나고 여분의 수소가 발생한다. 한편 이때 나오는 수산화이온(OH-)이 양극으로 이동해
전자
를 내어주고 산소(O2)와 수소이온(H+)이 되면서 회로가 돌아간다. 물론 이번 시스템이 산업화에 성공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 무엇보다도 핵심인 나노촉매가 시간이 지날수록 뭉치면서 효율성이 ... ...
[과학계 소식] 이달의 엔지니어상 8월 수상자 등
2014.08.11
시스템,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등 다양한 고객 편의 신기술을 개발해 자동차 전기,
전자
분야 기술발전에 기여했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공동으로 ‘한림미래과학캠프’를 12일부터 2박 3일간의 일정으로 개최한다. 이번 캠프는 DGIST 교수진과 함께하는 물리, ... ...
전자
제품 세대교체 오나… 금속기판에 차세대 소자 심었다
2014.08.11
‘그래핀’은 강철보다 200배 강하고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해 디스플레이나
전자
종이 등에 응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하지만 정작 그래핀을 활용하기 위해 전기기판 위로 옮기려고 하면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돼 상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한창수 고려대 ... ...
유독가스·전염병바이러스 한 번에 검출한다
2014.08.10
방식이다. 금이나 은 나노입자 표면에 물질이 흡착되면 금속 나노입자 표면에 있는 자유
전자
들의 공명한다. 여기에 빛을 쪼여주면 입사된 빛이 수백 배 이상 증폭되는 물리적 현상을 이용한 것. 산란광의 세기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금 나노입자간 거리 정량화 할 수 있다면 생화학 센서 등의 ... ...
이전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