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뉴스
"
전자
"(으)로 총 7,73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균온상 스마트폰 안심하고 쓰는 기술 개발됐다
2014.09.28
없었다. 윤순길 교수는 “빠르면 2~3년 내에 상용화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다양한
전자
기기에 항균기능을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성과는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지(Scientific Reports) 온라인판 9월 3일자에 ... ...
아프리카 원주민 같나요? 모기 발바닥 끝이랍니다
과학동아
l
2014.09.26
걸까, 엄마가 보고 싶었던 걸까. 사실은 파리의 겹눈 사이에 더듬이로 보이는 부분을
전자
현미경으로 확대한 것이다. 새처럼 보이는 부위의 실제 크기는 머리카락 한 가닥과 비슷하다. 이 더듬이는 감각기관의 역할을 하고 있어 먹이를 찾는 데 도움을 준다. ... ...
스마트폰 동시 사용, 인지·감정조절능력 손상시킨다
2014.09.25
다양한
전자
기기로 미디어를 접한다. - Pixabay 제공 스마트폰을 비롯한 여러대의 미디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멀티테스킹’이 인지기능과 감정조절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런던대 인지신경과학연구소 연구진은 여러 미디어 장치를 동시에 사용하는 멀티테스킹을 오래 ... ...
[연구실에서 시장으로(下)] 좋은 아이디어, 좋은 기술이 ‘차세대 먹을거리’ 의료 시장 이끈다
2014.09.25
끈다. 윤용선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ETRI) 연구원은 암과 심근경색 등을 진단할 때 쓰이는 양
전자
단층촬영(PET)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고 민감도 차세대 광센서(SiPM)’를 개발해 시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 이 센서는 작고 가벼우면서도 적은 빛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센서(PMT ... ...
몽골에 한국 하늘 감시하는 ‘매의 눈’ 설치
2014.09.23
우주물체 광학 감시 시스템이다. 관측계획의 수립부터 관측결과 분석까지 전 과정을
전자
동 기계제어장치를 이용해 완전 자동으로 진행해 운영 효율을 높였다. 관측자료 수신·처리, 관측소 운용 등 전 과정은 대전 천문연에서 무인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 미래부와 천문연은 몽골 관측소를 ... ...
햇빛만 있으면 수소가 펑펑
2014.09.23
수 있도록 텅스텐 산화물을 꽈배기 모양으로 제조했다. 여기에 물을 분해하도록
전자
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인 비스무스 바냐듐 산화물을 코팅했다. 나노구조체의 모양에 따라 햇빛을 산란시키는 정도는 달라진다. 빛을 잘 산란시키는 부분을 붉은 색으로 표시하면 육각기둥 모양일 때(a) 보다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탄소14는 불안정한 동위원소로 결국 질소14로 붕괴되는데(이때
전자
와 반뉴트리노가 나온다) 반감기가 약 5730년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탄소14는 대기중에서 산소와 반응해 이산화탄소가 되고 식물에 흡수된다. 결국 살아있는 동식물은 대기중의 탄소14 비율을 갖고 있지만 ... ...
김두철 서울대 명예교수 IBS 신임 원장 선임
2014.09.21
김 원장은 22일부터 5년간 임기를 시작한다. 이론물리학자인 김 신임 원장은 서울대
전자
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 통계물리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33년 동안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고등과학원 원장 겸 계산과학부 교수 등을 거쳤다. 한국물리학회 이사와 ... ...
신소재 개발하려면 ‘이것’부터 보세요
2014.09.19
1m)인 경계면에 들어 있는 원자만 100만 개를 넘는다. 그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전자
의 움직임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경계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하나둘 밝혀내기 시작했다. 현재 경계면 연구에서는 김 교수팀이 독보적이다. 그 덕분에 김 교수는 지난해 경계면만 집중적으로 ... ...
‘슈퍼 렌즈’로 보면 100nm 보다 작은 세계도 선명
2014.09.17
박용근 교수는 “지금까지 300nm 보다 작은 물체의 정밀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전자
현미경을 사용했지만 살아 있는 세포는 여전히 관찰하기 어려웠다”며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생명공학을 비롯해 광학 측정과 제어가 요구되는 모든 분야에서 핵심 기반기술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697
698
699
700
701
702
703
704
7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