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손
뒷자손
후속
후예
스페셜
"
후손
"(으)로 총 7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
2019.07.25
우주가 애초에 수학이라는 언어로 쓰여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그 덕분에 수많은
후손
들이 수학이라는 ‘외계어’로 쓰인 과학을 배우느라 골탕을 많이 먹기도 했지만. 플라톤은 자신이 소크라테스라는 위대한 철학자의 제자였듯이 플라톤도 자기 못지않게 아주 위대한 제자를 두었다. 바로 ... ...
"北 HIV 청정국 주장 불구 실제론 8000명 넘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6.26
보균 상태로 30년 이상 장기 생존이 가능하다. 하지만 체액을 통한 전파 가능성이 있고,
후손
에게도 바이러스를 물려줄 우려가 있으며 10~15년 뒤에 다른 질병에 걸렸을 때 체내 면역시스템이 작동하지 못하게 해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을 일으키고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 ...
미국 땅을 처음 밟은 이주민은 시베리아에서 건너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6
일자에 발표했다. 아메리카 대륙에 살던 원주민(미국 원주민)이 과연 어디에서 온 누구의
후손
인지는 인류학의 큰 미스터리 중 하나다. 여러 고고학 및 고인류학 연구를 통해 수만 년 전 빙하기 때 시베리아와 아래스카가 하나의 대륙으로 연결돼 형성된 대륙인 ‘베링기아’를 통해 건너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F. nipponica) 사이에서 4배체 딸기가 나왔다. 아쉽게도 오늘날 이 4배체 딸기의 직계
후손
은 없다. 아니 엄밀히 말하면 찾지 못했다. 참고로 흰땃딸기는 한반도와 일본에 분포하는 야생 딸기다. 그 뒤 이 4배체 딸기가 유라시아에 자생하는 2배체 딸기인 F. viridis와 만나 6배체 자손인 사향딸기(F. moschata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걸릴 위험성이 크게 낮아질 것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그러고 보면 말이나 개(늑대의
후손
) 역시 사람과 비슷한 길을 걷고 있는 것 같다. 수천 년이나 수만 년 전 사람에게 길들여진 뒤에도 이들은 여전히 몸을 많이 쓰는 삶을 살았다. 그런데 불과 100년 사이 말은 자동차와 기차에 직업을 빼앗기고 개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대 수궁류는 티라노사우르스 때문에 멸종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조상이 생존하기 유리하다는 것이다. 고생물학계는 디키노돈트와 같은 대형 수궁류는
후손
을 남기지 못한 채 사라졌으며, 다른 작은 수궁류가 살아남아 포유류의 조상으로 진화했다고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거대 수궁류인 리소비치아 보자니의 존재는 이런 가설에 반기를 드는 모양새다. ... ...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 게놈 연구 결과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8.23
이력도 함께 연구했다. 그 결과 어머니는 약 12만 년 전 먼 서유럽에서 온 네안데르탈인의
후손
이고, 아버지는 먼 조상 중에도 네안데르탈인이 최소 한 명 이상 있는 ‘혼혈’ 데니소바인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소녀의 족보에는 ‘종을 초월한 사랑’이 최소 두 번 있었던 것이다. 페보 소장은 ... ...
현생 인류, 이웃 종 데니소바인과 적어도 2번 교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유인원에서 원시 인류로의 진화는 약 30만~20만년 전 사이에 이뤄졌다. 이때 나온 고대인이 진화를 거듭해 다양한 인류 종이 생겨났다. 현재 지구를 뒤덮고 있는 ‘크로마뇽인 (Cro-Magnon)’뿐만 아니라 유럽을 중심으로 중동과 아시아 서남부에 살았던 ‘네안데르탈인 (Homo neanderthalensis)’, 그리고 20 ... ...
이 괴물이 인류의 조상이라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2
인류의 조상이라는 것이다. 사코르히투스의 대칭인 몸 구조는 인간을 비롯한 많은
후손
들이 물려받았다. 하지만 사코르히투스가 물에서 살다가 밖으로 나와 어떻게 인류까지 이어졌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한 교수는 “사코르히투스 화석을 통해 물고기, 그리고 다양한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린란드에 살던 바이킹
후손
들은 15세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14
살아남은 것과 비교되기도 했다. 하지만 NABO는 최근 10년간 그린란드에서 바이킹
후손
들이 남긴 거주지와 식재료 등을 연구한 결과 역사학계의 추측이 틀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은 가축을 기르기보다 바다코끼리 상아 무역에 힘썼다. 또 목초지보다는 바다에서 먹을거리를 찾으려 애썼다.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