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손
뒷자손
후속
후예
스페셜
"
후손
"(으)로 총 7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마야의 천문 지식을 발굴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5
바탕으로 점차 그 정체가 드러나고 있다. 사이언스는 2일 특집 기사를 통해 “마야인들의
후손
과 서양 학자들이 마야인이 구축한 정교한 천문학을 이해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마야인들은 1년을 260일로 나눈 촐킨력과 365일로 나눈 태양력 하아브력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공룡의 피는 따뜻했을까
2022.05.31
대퇴골) 시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중생대 트리아기에 살았던 초기 공룡과 이들의
후손
가운데 용반류는 모두 내온성 동물로 밝혀졌다. 이 가운데 일부는 에너지가 많이 드는 비행 능력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대사율이 더 높아졌고 그 결과 조류는 내온성 동물 가운데서도 체온이 꽤 높아졌다. 한편 ... ...
지구에 10마리도 안 남은 바키타 돌고래, 불법 어망만 없다면 희망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09
통념과 다른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바키타 돌고래
후손
의 게놈을 예측해 향후 50년 동안 종 멸종 위험을 분석한 결과 근친교배에도 향후 종이 생존할 가능성이 94%로 나타난 것이다. 대신 자망 때문에 생존률이 20% 감소하면 종 유지 확률은 34%로 떨어지는 것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백악기 하늘의 지배자 익룡, 깃털을 갖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30
지구및생명과학부장은 “이같이 중요한 화석은 발견된 국가로 돌려보내서
후손
을 위해 안전하게 보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며 “이 화석은 과학자들이 추가 연구를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전시회를 통해 미래의 과학자들에게 염감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지난 2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게놈 역시 기장처럼 이질사배체이지만 기장과는 달리 이배체 조상 가운데 하나는 직계
후손
을 밝혔다. 중미와 남미 열대지역에 자생하는 기장속 식물이다. 연구자들은 460만 년 전보다 뒤의 어느 시점에서 사배체 스위치그래스가 생겨난 뒤 북미 온대지역으로 서식지를 넓혀 온 것으로 추정했다. ... ...
[전문가 진단]"오미크론 변이 에이즈 섞여도 위험 없어…델타 변이 다음 대유행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11.29
현재 전세계 감염의 99.6%를 차지하는 델타 변이가 아닌, 지난 6월에 등장했던 바이러스의
후손
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오미크론 변이가 가진 돌연변이를 보면 알파 변이와 감마 변이, 델타 변이, 람다 변이와 각각 공유한 부분들이 있을 정도로 여러 변이의 합작품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노벨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
2021.10.13
줄리어스 교수도 1900년대 초 제정 러시아의 유대인 박해를 피해 미국에 정착한 유대인의
후손
이다. 또 물리학상을 수상한 마나베 교수와 하셀만 교수는 90세의 노익장이지만, 화학상을 수상한 리스트와 맥밀런 교수는 노벨상 평균 수상 연령보다 젊은 53세라는 사실도 흥미롭다. 맥밀런 교수는 ... ...
[2021노벨상]전쟁과 탄압 피한 이민자들, '기회의 땅'에서 노벨상 받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05
내전은 15년 간 수십 만 명의 사망자를 냈다. 파타푸티언 교수는 아르메니아인의
후손
이다. 레바논 인구의 4%밖에 되지 않는 아르메니아계는 내전에서 중립으로 여겨졌으나 전쟁이 길어지자 탈출이 이어졌다. 그가 다니던 아르메니아인 학교는 신입생이 5명으로 줄어들자 결국 문을 닫았다. 그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명절에 만난 사랑하는 사람에게 삼가야할 오지랖
2021.09.18
설명이다. 이런 현상에서 가족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인간들은 다른 동물에 비해
후손
에게 투자하는 시간이 매우 긴 편이다. 낳으면 거의 바로 사냥을 시작하고 혼자서 살아갈 수 있는 동물들과 달리 제대로 걷고 생산 활동을 하며 혼자서 생존하게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십여 년이다. 이렇게 ... ...
[프리미엄 리포트]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과학동아
l
2021.07.17
화려한 여름을 즐긴다. 격렬하게 소리치는 이들은 몇 주 뒤 생을 마감하고, 그들의
후손
은 다시 17년 뒤인 2038년에 같은 지역으로 돌아올 예정이다. 6월 9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유럽 순방을 위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전세기에 오르려는 순간, 매미가 바이든 대통령의 목덜미를 치고 지나가는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