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손
뒷자손
후속
후예
스페셜
"
후손
"(으)로 총 7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이렇게 생겨난 게 MWS이고 그 결과 이들은 3색형 색각을 회복해 총천연색을 보게 됐다. 그
후손
이 바로 우리다. 4색형 색각으로 울트라총천연색을 보는 벌새에게 이 이야기를 들려주면 이렇게 반응하지 않을까. “애썼다.” 우리 눈에는 2색형 색각인 개가 보는 색의 세계(왼쪽)가 꽤 빈약해 ... ...
[인간 행동의 진화] 시대가 변하면 명당도 바뀐다
2020.11.01
비판했다. 아마 모르긴 몰라도 묫자리를 잘 써서
후손
이 잘된 케이스보다는,
후손
이 잘 되어서 조상을 '좋은' 곳으로 이장한 케이스가 훨씬 많을 것이다. 충적세 인류 지금 우리가 사는 시대를 충적세(沖積世, alluvium)라고 한다. 하천의 퇴적물이 층층이 충적된 때라는 뜻이다. 다른 말로는 홀로세 ... ...
[사이언스N사피엔스]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2020.10.15
논쟁도 뒤따랐다. 모든 생물종이 진화하고 인간도 예외가 아니라면 우리가 원숭이의
후손
이냐 하는, 진화론을 접했을 때 누구나 한번쯤은 가졌을 법한 의문이 그때에도 심각하게 제기되었다. 나 또한 어렸을 때 다윈의 진화론을 접하고서는 그렇다면 지금 이 순간에도 유인원에 가깝게 진화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마와 동이족 문명의 성쇠
2020.07.14
할까. 필자가 뜬금없이 ‘묵자가 필요한 시간’을 언급한 건 묵자가 동이족의
후손
일 가능성이 높다는 저자의 주장 때문이다. 묵자는 생몰 연대도 불확실하고 어디 출신인가도 아직 논란 중인데 천웨이런은 이 입장을 옹호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 은나라 역시 동이족의 한 갈래가 서쪽으로 이동해 ... ...
[게놈과 인류사]"한국인 주류, 남중국-동남아인의 복잡한 혼혈"
동아사이언스
l
2020.06.03
박 교수는 “추가 데이터를 확보해 더 정교화하는 과정을 진행중”이라며 “선남방계의
후손
이 아시아 전반에 큰 변화 없이 퍼져 살다 약 5000~4000년 전 남중국에서 시작된 새 기술을 지닌 인류의 팽창으로 격변을 맞았고, 한국인 역시 이 과정에서 형성됐다는 ‘큰 그림’에는 변함이 없을 ... ...
"추위보다 현생인류와 경쟁이 더 버거웠다" 슈퍼컴 밝힌 네안데르탈인 멸종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남아프리카 남서 해안쪽으로 이주가 가능했다. 한 그룹이 발상지에 남았고, 그들의
후손
일부(칼라하리 코이산)는 여전히 칼라하리에 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지난해에는 호주의 유전학 연구자와 공동으로 20만 년 전 남아프리카의 초기 현생인류가 기후변화로 형성된 녹지를 따라 다른 ... ...
코로나19 바이러스 게놈 3600개 분석 결과 보니..."변종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8
낮다. 장 연구위원은 “다양성이 높게 측정된 염기서열은 사태 초기에 변이가 생겨서 그
후손
이 많아졌다는 의미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한때 언론 보도를 통해 화제가 됐던 변종 출현 관련 연구는 신빙성이 부족하다. 중국 연구팀이 3월 “전세계 바이러스가 S유형과 L 유형으로 나뉘며 이 가운데 ... ...
[표지로 읽는 과학] 9000만 년 전 남극, 얼음 대신 숲으로 뒤덮여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5
이어지는 곳이었는데 숲이 우거질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연구팀은 식물종의
후손
이 사는 지역 등을 토대로 분석해 과거 남극의 연평균 기온을 12도로 추산했다. 이는 지난 100년간 한국의 연평균 기온인 13.2도와 크게 다르지 않다. 특히 여름 기온은 19도로 나타났고 연평균 강우량은 약 250 ... ...
[사이언스N사피엔스]과학혁명의 배경
2020.02.06
도형의 각 요소에 좌표를 부여해 대수적으로 수학문제를 푸는 방식이다. 그의
후손
들은 18~9세기 프랑스에서 뉴턴역학을 수학적으로 우아하고 세련되게 다시 정리하기에 이른다. 현실감각을 중요하게 여겼던 아리스토텔레스를 극복하려면 역시나 수학이 제 역할을 해야 한다. 상대적으로 스승이었던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감염
2020.01.11
산악지역에 사는 주민은 주로 아메리카 원주민의
후손
이었다. 반면에 해안 지역에 사는 주민은 주로 아프리카에서 노예로 끌려온 집단이었다. 그런데 산악지역 원주민의 몸에는 주로 유럽과 아시아인에게서 많이 발견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살고 있었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