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껍질
딱지
각질
깍지
shell
껍대기
껍때기
뉴스
"
껍데기
"(으)로 총 146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팬데믹의 희망과 과학자의 고난
2020.12.31
없었다. 전통적인 바이러스 백신은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거나 불활화된 바이러스
껍데기
를 사용하거나, 독성을 없앤 바이러스를 사용하는 종류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에 모더나/바이오앤텍사와 화이자가 개발한 mRNA 백신은 나노입자를 이용해 mRNA를 코팅해서 안정적으로 코로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의 정체가 드러나다
2020.12.24
진행했다. 박테리오파지의 구성물이라고 해 봐야 핵산인 DNA와 그것을 둘러싼 단백질
껍데기
밖에 없다. 이들은 방사성 인(P32)을 DNA에, 방사성 황(S35)을 단백질에 투입했다. 인은 DNA에는 있으나 단백질에 없는 원소이고 황은 그 반대이다. 방사성 원소는 생체 안에서 일종의 추적기 역할을 한다. 허시와 ... ...
"네안데르탈인, 현생 인류와 10만년 넘는 소모전서 패해 멸종"
연합뉴스
l
2020.11.04
인류와 유전자가 99.7% 같은 네안데르탈인이 불을 사용하고 시체를 매장하는가 하면 조개
껍데기
나 동물 이빨로 장신구를 만들어 사용하는 등 놀랍도록 현생 인류와 행동이 닮았는데, 네안데르탈인이 현생 인류와 창조적 본능의 상당 부분을 공유했다면 파괴적 본능 역시 나눠 가졌을 것이라고 ... ...
[화보+]가장 오래된 정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9.17
0.5mm 정도에 불과하고 몸 좌우에 1장씩 두 장의
껍데기
를 달고 있다. 물벼룩이 조개
껍데기
를 단 모양을 연상시킨다. 지구에 약 5억 년 전 처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도 약 8000여 종이 바다와 호수, 강 등 곳곳에 서식하고 있다. 호박 화석 속에서 발견된 패충류들의 모습이다. 몸의 형태가 ... ...
러 백신은 공식 임상 3상 착수 후보 7종서 빠져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CoV-2)의 단백질 일부(항원)를 만드는 유전자를 안정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다른 바이러스
껍데기
에 끼워 넣어 인체에 주입하는 '전달체(벡터)' 방식 백신이다. 5형 아데노바이러스(Ad5)와 26형 아데노바이러스(Ad26) 두 가지를 혼합해 사용하는 독특한 전략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의 ... ...
대기 뺏겼나 원래 없었나…
껍데기
없이 핵만 남은 행성 첫 관측
연합뉴스
l
2020.07.02
약 730광년 밖 핵 노출 TOI 849 b "행성 내부 들여다볼 기회" University of Warwick/Mark Garlick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해왕성 크기의 가스형 외계행성이 대기 없이 핵이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처음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이 행성은 행성 내부를 들여다보고 핵의 구성을 파악할 유례없는 기회가 될 것으로 받 ... ...
가장 정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 구조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정교하게 복원해 냈다. 여기에 임 교수팀이 일종의 부속 물질인 당 분자와 바이러스의
껍데기
(외피막) 구조를 밝혀내 결합시켜 스파이크 단백질의 전체 구조를 완성했다. 당 분자는 바이러스 단백질 곳곳을 감싸고 있는 물질로,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 백신이나 치료제를 개발할 때 반드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미생물의 발견
2020.05.14
단순하기 그지없다. 생물학적 정보를 담고 있는 DNA 또는 RNA와 그것을 둘러싼 단백질
껍데기
가 전부이다. 또한 스스로 생명현상을 유지할 수 없어 항상 숙주에 기생해서 살아간다. 바이러스는 너무 작아서 레이후엔훅의 현미경으로도 볼 수 없었다. 바이러스를 처음 발견한 것은 그보다 200여 년이 ... ...
코로나19 종식 '키' 쥔 백신 접종할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5.08
게 단점이다.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을 활용한 백신도 고려되고 있다. 다른 바이러스를
껍데기
로 사용해 타깃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을 넣는 바이러스 벡터 백신과 타깃 바이러스의 항원 단백질을 주입하는 핵산(RNA) 백신,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백신이 해당된다. 바이러스를 배양할 필요가 없지만 ... ...
"렘데시비르 여전히 '유망'…리바비린 '속빈' 강정" 코로나19 치료제 중간 점검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4.15
이용해 단백질을 생산한 뒤 이를 이용해 복제 및 전사효소를 만들어 유전물질 복제 및
껍데기
단백질을 생산한다. 이 과정에서 효소를 만들기 위해 단백질분해효소가 필요한데, 이 효소를 막아 증식을 막는다. 연구팀에 따르면, 칼레트라는 코로나19용 세포실험 결과가 없다. 코로나바이러스에서는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