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민물"(으)로 총 1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육지보다 귀한 바다 생물과학동아 l201203
- 멸종하는지 비교했다.그 결과 조기어류는 넓고 큰 바다에서 오히려 종 수가 줄었다. 민물에서는 1만 5150종이 살았지만 바다에서는 1만 4740종밖에 없었다. 멸종하는 비율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바다가 넓다고 꼭 생물 번성에 유리하지는 않다는 뜻이다.연구팀은 현재 남아 있는 바다 종들은 모두 육상 ...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과학동아 l201202
- 들고 나섰다. 채취도구로 수생 식물이 있는 곳 부근의 물을 긁듯이 퍼 올리자 그물에 민물새우와 잠자리 유충 등 손톱보다 작은 동물들이 딸려 올라왔다. 둠벙 바닥 쪽에서 채취하자 더 많은 동물이 올라왔다. 식물도 여럿 보였다. 추운 겨울에 이렇게 많은 생물이 살고 있다니 놀라웠다.“이 ... ...
- 두 발로 기록한 새만금 7년과학동아 l201112
- 하지만 다음 해는 더 극적인 변화가 기다리고 있었다. 땅에서 소금기마저 빠져 나가 온통 민물 습지 식물인 갈대가 자라고 있었던 것이다. 그것도 사람 키를 넘길 정도로 무성했다. 그 전에 염습지를 차지하고 있던 칠면초나 퉁퉁마디 같은 염생식물들은 찾아볼 수 없었다. 불과 몇 년 사이에 ... ...
- 살인 물고기의 평화로운 대화과학동아 l201111
- 강에 사는 육식성 민물고기 피라냐는 공포의 대상이다. 물고기는 물론 말과 같은 큰 포유동물까지 잡아먹을 정도로 식욕이 왕성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피라냐가 소리로 서로 대화한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벨기에 리게대의 에릭 파멘티어 박사팀은 이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실험생물학저널’ 1 ... ...
- 팔딱팔딱! 민물고기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110
- 지원아! 드디어 우리 차례가 왔어!야호~! 민이 언니, 우리 멋지게 첫 취재를 해 보자! 그런데 물고기를 보러 간다고 들었는데, 왜 바다로 가지 않는 거 ... 수 있을 것 같아요.이렇게 많은 종류의 민물고기가 있다는 사실에 놀랐어요. 앞으로 민물고기에 많은 관심을 갖고 계속 공부할 거예요 ... ...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과학동아 l201108
- 따라 이리저리 흔들린다. 조류는 사는 곳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강, 호수, 연못처럼 민물에 사는 조류를 담수조류라 하고, 바다에 사는 조류를 해조류라 한다. 조류는 생활 형태에 따라 저서성 조류와 부유성 조류로 구분할 수도 있다. 저서성 조류는 단단한 바닥 표면에 붙어산다. 바닷가에서 ...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수학동아 l201107
- 이용해 거품의 크기를 알 수 있게 됐다.민물에서는 거품이 거의 생기지 않는다. 그런데 민물에서도 거품이 잘 생기는 곳이 있다. 바로 폭포다. 이곳은 물과 공기가 활발하게 섞여 거품이 잘 생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빅토리아 폭포나 나이아가라 폭포를 보면 거품으로 가득한 모습을 쉽게 볼 수 ...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106
- 조금씩 서해로 내보냈다는 뜻이기도 하다. 3년만인 2000년 12월, 결국 정부는 시화호를 민물 호수(담수호)로 만들기를 포기하고 소금물 호수(해수호)로 운영하겠다고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사실상 둑에 가로막힌 ‘바닷물 호수’가 된 셈이다.바닷물을 들인 이후 수질이 많이 좋아졌다. 하지만 바닷물 ...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과학동아 l201106
- 학봉장군 미라를 연구해 조선 전기에는 애기부들 꽃가루를 각혈 약으로사용했으며, 당시 민물고기를 날로 먹는 식생활 문화가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한국미라가 많지 않은 이유한국엔 이름이 알려진 미라가 몇 개 없다. 김한겸 교수와 신동훈 교수팀이 조사했던 미라의 숫자를 모두 합해도 2 ... ...
- 고슴도치 섬에는 특별한 것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15
- 제가 소개해 드리죠.강물과 바닷물, 어디서나 살 수 있어요!천연기념물인 수달은 보통 민물에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바닷가에서도 살 수 있다. 물에 들어갈 땐 입을 다물고, 특별한 근육으로 코와 귀를 꼭 틀어 막기 때문에 바닷물이나 강물에 관계 없이 물 속에서 생활할 수 있다. 바다에서 ... ...
이전2345678910 다음